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drive
드라이브
뉴스
"
구동장치
"(으)로 총 268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문일답]"3단 헬륨 탱크 이탈 문제 스페이스X도 겪어"..."5월 발사는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1.12.29
권현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과 최환석 누리호 발사조사위원회 위원장이 29일 세종시 과기정통부에서 열린 누리호 발사조사위원회에서 누리호 1차 발사 실패 원인에 대한 조사 결과에 대해 답변하고 있다. 이브리핑 지난 10월 21일 첫 발사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위성 모사체 ... ...
18kg 들고 계란 집고 핀셋으로 작은 칩 옮기는 로봇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16
사진 왼쪽은 음료수 캔을 찌그러 뜨리는 모습. 오른쪽은 날계란을 안전하게 잡고 있는 모습. 아주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강력한 악력과 섬세한 손짓을 동시에 가진 로봇 손을 개발했다. 맥주 캔을 찌그러뜨리고 물건을 18kg까지 들며 가위로 종이 자르기와 핀셋으로 작은 칩 옮기기까지 할 수 있다. ... ...
유무선 인터넷으로 뇌 신경회로 원격 제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8
정재웅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팀이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한 원격 동물 뇌 제어 시스템을 개발했다.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인터넷을 이용해 뇌 신경회로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동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10)발사체 제작 경험, 핵융합로 수주로 이어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4
경기 안산 단원구 비츠로넥스텍 공장 안에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연소기가 놓여 있는 모습이다. 안산=조승한 동아사이언스 기자 shinjsh@donga.com 지난달 22일 경기 안산 단원구에 있는 비츠로넥스텍 공장 건물 안으로 들어서자 길이 3m는 족히 넘는 거대한 유선형 금속성 장치가 반짝이며 눈길을 사로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음극재 없는 리튬전지용 음극 집전체 구조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08
김희탁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왼쪽)팀은 음극재가 없는 고에너지밀도 리튬 배터리 구동을 위한 음극 집전체 구조를 개발하고 작동원리를 찾아냈다. KAIST 제공 ■ 김희탁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은 음극재가 없는 고에너지밀도 리튬 배터리 구동을 위한 음극 집전체 구조를 개발하고 작동원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7)발사부터 위성 분리까지 생생히…누리호 생중계 시스템을 만들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0
지난 2018년 11월 한국형발사체(KSLV-2) '누리호'의 엔진 시험발사체가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탑재카메라시스템은 누리호가 우주로 향한 후 사람들의 눈이 되어준다. 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이 최초로 독자 개발하는 우주발사체인 ‘누리호(KSLV-2)’가 10월 21일 우주로 향한다. 누리호는 ... ...
디스플레이 권위자 권오경 한양대 석좌교수,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9.09
올해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선정된 권오경 한양대 석좌교수. 권 석좌교수는 2017년부터 한국공학한림원 회장을 맡고 있다. 한국공학한림원 제공 올해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에 권오경 한양대 석좌교수(66)가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 ... ...
손도 눈도 떼는 자율주행 시대 '성큼'…기사 없는 택시부터
연합뉴스
l
2021.08.31
손도 눈도 떼는 자율주행 시대 '성큼'…기사 없는 택시부터 현대차·GM·혼다, '비상시에만 운전자 개입' 레벨3 자율주행차 출시 구글·인텔 등 IT업계도 '참전'…현재 기술로는 사고도 잇따라 [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운전석에 앉았지만, 운전은 하지 않는 자율주행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31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3) 극한의 우주환경 견디는 복합소재로 우주시장 정조준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결과로 판명됐다. 당시 페어링 분리 실패 원인으로는 페어링에 추가로 설치된 분리
구동장치
에서 발생된 고전압 전류가 페어링 분리장치로 공급되는 과정과 페어링 분리기구의 작동과정에서 문제점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과거 경험은 누리호 개발에도 그대로 반영됐다. 동 부장은 ... ...
진정한 수소경제 실현하려면…생산·저장·운송 ‘삼박자’ 맞아 떨어져야
과학동아
l
2021.08.14
현대자동차가 2020년 양산한 대형 수소전기트럭 ‘엑시언트’는 8~20분간 수소를 충전해 최대 약 400km를 주행한다. 차량 총중량은 34t(톤) 급이다. 현대자동차 제공 오늘날 수소는 ‘친환경 연료’란 이름값을 하지 못한다는 비난에 직면해 있다. 수소에너지를 사용할 땐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지만,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