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한
절정
한계
극치
정점
최고조
최상
뉴스
"
극도
"(으)로 총 30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 프라임,렙토쿼크...새 입자가 LHC 실험결과 설명할까
과학동아
l
2021.05.10
새로운 입자의 존재 가능성이다. 지 프라임은 힘을 전달하는 운반체로 힘의 크기가
극도
로 약해 지금까지 흔적이 보이지 않았지만, 전자와 뮤온에 다르게 상호작용하는 입자일 수 있다. 또 하나는 ‘렙토쿼크(leptoquark)’라는 새로운 입자다. 이 입자는 동시에 쿼크와 렙톤으로 붕괴하는 특성을 ... ...
세계 최고 세기 레이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6
㎠당 1.1×1023 W 세기로 모으는 데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당 1023W이상 레이저는
극도
로 강한 전기장을 만들어 별이 폭발하는 것과 같은 우주 천문현상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나지 않고 양자역학 이론에서만 예측되는 물리현상을 직접 실험할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하다. 이번 ... ...
[이덕환의 과학세상]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과학적 사실
2021.04.28
가장 풍요롭고, 건강하고, 안전하고, 평등한 문명사회를 이룩한 우리 자신의 능력을
극도
로 폄하하는 패배주의적 궤변이다. 방사능은 인류가 지구상에 존재하기 전부터 우주를 가득 채우고 있었고, 지금도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오염수를 희석시켜도 총량은 변하지 않는다는 주장도 ... ...
화이자 CEO '3회 접종안' 제시...美 부스터샷 계획 수립중
동아사이언스
l
2021.04.16
행사에서 진행된 것이다. 불라 CEO는 “코로나19에 감염될 수 있는 집단을 억제하는 것이
극도
로 중요하다”며 “전염력이 더 높은 변이 바이러스와의 '전투'에서도 백신이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라 강조했다. 코로나19 백신의 예방 효과가 얼마나 오래 유지되는 지 아직 불투명하다. 일반인들을 ... ...
'하늘 나는 파충류' 익룡의 약해진 뼈 내부 바큇살 지주가 지탱
연합뉴스
l
2021.04.15
"기상천외할만큼 복잡하고 정교한" 생명체였다는 점을 드러내 줬다면서 익룡의 뼈는
극도
로 가볍지만 강하고 내구력을 가진 생물학의 경이라고 했다. ... ...
CDC "얀센 백신 최근 맞았다면 숨가쁨·두통 있는지 살펴봐야"
연합뉴스
l
2021.04.14
일어나고 있는 것과 비슷한 기제"라며 "이는 면역 반응으로, 이것이 혈소판과 이
극도
로 드문 혈전의 활성화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마크스 소장은 또 만약의 상황에 대비해 이번에 사용 중단을 권고했지만 이는 의무사항은 아니라며 의사와 환자가 상의해서 얀센 백신을 맞기로 결정해도 된다고 ... ...
"동아시아 내륙 사막화 돌아갈 수 없는 지점 건넜다" "최악 폭염·산불 한반도 더 자주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260여 년의 폭염과 토양 습도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약 20년 전부터 폭염의 빈도가
극도
로 잦아졌고, 같은 기간 토양의 습도 역시 전례 없이 크게 떨어진 것이 확인됐다. 정 교수는 “동아시아 내륙 지역의 사막화가 ‘돌아올 수 없는(irreversible)’ 지점을 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며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고교학점제는 20년 묵은 낡은 제도
2021.03.17
어느 학교에서도 가르치지 않는 아랍어가 수능의 인기 과목이 되기도 했다. 운영이
극도
로 경직된 학교에서 학생들의 실질적인 ‘교과 선택권’은 그림의 떡일 수밖에 없다. ‘물리’ 전공의 교사를 확보하지 못한 학교의 학생들이 ‘물리’를 선택할 수 있는 길은 없다. 다른 학교의 물리 교과를 ... ...
[주말N수학] 과학계가 3월14일을 기념하는 이유
수학동아
l
2021.03.13
오히려 다른 계산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우주 연구나 항공 분야처럼
극도
로 높은 정확도가 요구되는 산업계에서도 소수점 아래 수백 번째 자릿수 수준의 원주율을 사용하고 있다. ○ 계산 알고리즘 출발점 된 라마누잔의 초기하급수 일각에서는 컴퓨터 알고리즘의 등장과 ... ...
[표지로 읽는 과학]심해 자유롭게 누비는 로봇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1.03.06
1만900m로 지구상에서 가장 깊은 마리아나 해구에 사는 마리아나 꼼치다. 심해는 수압이
극도
로 높아 탐험하기가 매우 어려운 조건이다. 심해 잠수정을 단단한 금속 재질로 만드는 이유다. 하지만 마리아나 꼼치나 해파리처럼 깊은 곳에 사는 심해 생물은 단단한 몸을 가지지 않고서도 압력을 견딜 수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