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뉴스
"
새로운
"(으)로 총 12,068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제한림원연합회 운영위원에 과기한림원 회원 2명 선출
동아사이언스
l
2025.08.08
교수는 역량강화위원회에서 활동한다. 김 교수는 지식융합 및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이론적 패러다임을 제시한 세계적 언론학자다. 아시아 학자로서는 세 번째이자 한국인 최초로 관련 분야 세계 최대 학회인 국제커뮤니케이션학회 회원으로 선출된 바 있다. 서 교수는 ’화학적 암 ... ...
기초과학 예산 부족 호소에 배경훈 장관 "풀뿌리 과제 100% 이상 복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8.07
고려해줬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배 장관은 "기초연구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탐구하는 영역"이라며 "연구자들이 예측 가능하고 자율적으로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 ...
촌충 감염 치료제에서 노쇠 완화 효과 규명…'약물 재창출'
동아사이언스
l
2025.08.07
노쇠 예방 효과는 이번 연구를 통해 처음 확인된 것"이라며 "노쇠를 예방할
새로운
치료제로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doi.org/10.1016/j.jare.2025.04.02 ... ...
고전류 상황서 800시간 연속 운전 가능한 수전해용 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8.07
전기화학적 성능을 낼 수 있게 했다. 연구팀은 이어 코발트-몰리브덴 촉매를 개발해
새로운
해수 수전해용 전극을 개발했다. 개발한 전극은 전극에 가해지는 과전압을 기존에 비해 25% 낮춰 1.3배 더 효율적인 수소 생성 반응을 보였다. 전극은 cm²당 50mA(밀리암페어)의 고전류 조건에서도 800시간 ... ...
악명 높은 '교모세포종' 줄기세포 면역치료 길 열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8.07
방사선, 항암 치료를 병행해도 재발하며 재발 후 사용할 수 있는 마땅한 치료제가 없다.
새로운
치료제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연구팀이 개발한 치료 전략이 장기적인 항종양 면역 효과를 유도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교모세포종을 이식한 쥐 모델을 세 ... ...
AI·인간 합작한 최강의 수중 접착제
동아사이언스
l
2025.08.07
종류나 결합 순서에 따라 단백질의 특성이 결정된다. AI는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새로운
하이드로겔 접착제 180개를 제안했다. 하이드로겔은 수분이 다량 포함돼 말랑말랑한 고분자 물질이다. 연구팀은 AI가 제안한 접착제를 실험으로 구현하고 결과 데이터를 다시 AI에 학습시키며 수중 접착제를 ... ...
"미시 현상이 플라즈마 구조 바꿔"…국내 연구진, 난제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07
윤 연구그룹장은 "플라즈마 물리 분야 해석의 틀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는 것은 물론
새로운
핵융합 기술 개발의 기반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doi.org/10.1038/s41586-025-09345- ... ...
쓸모없다고 여긴 입자가 양자컴퓨터 돌파구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8.06
사실이 드러났다"며 "단순히 수학적 경계를 넓힌 것이 아니라 결함 내성 양자컴퓨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연 것"이라고 밝혔다. 2월 19일(현지시간)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가 공개한 8큐비트 규모의 '마요라나 1(Majorana 1)' 양자컴퓨터 칩. 마이크로소프트 제공 양자이론 연구자인 최상준 국립공주대 ... ...
AI가 설계한 단백질, 차세대 유전자 교정 효율 '업'
동아사이언스
l
2025.08.06
유전자 교정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정밀 유전자 치료 기술에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는 배상수 의과대학 교수와 김경미 수의과대학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초소형 단백질(MLH1-SB)'을 설계해 정밀 유전자 교정 기술인 '프라임 교정(Prime editing)'의 ... ...
미세플라스틱, 단백질에 붙어 뇌세포 기능 해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06
신경독성물질로 작용할 수 있음을 규명했다”며 “미세플라스틱의 위해성을 평가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결과로 향후 미세플라스틱 연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org/10.1021/acs.est.5c04146 (왼쪽부터) Janbolat Ashim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과학과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