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학
연구소
유전
뉴스
"
유전공학연구소
"(으)로 총 405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파괴 인공효소 만드는 '합성생물학' 혁신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22.11.28
미 국립보건원(NIH) 제공 영국 과학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바이러스를 파괴하는 인공 효소를 만들었다. 알렉산더 테일러 영국 케임브리지대 치료면역학 및 전염병연구소 연구원팀은 “바이러스를 체내에서 자체적으로 죽일 수 없는 약한 면역체계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치료 ... ...
[과기원은 지금] 포스텍, 제철소 부생가스로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만든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12
정규열 포스텍 교수. 포스텍 제공. ■ 포스텍은 정규열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스페인 농업유전체학연구소와의 공동연구로 대장균에서 인공효소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대장균과 제철소 부생가스 발효산물인 아세트산을 결합해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인 ‘이타콘산’을 대 ... ...
산전 검사로 태아 다운증후군 확인...미국판 노벨생리의학상 '래스커상' 영예
동아사이언스
l
2022.09.29
임신부의 혈액에서 태아의 DNA를 분석해 출산 전 태아가 다운중후군에 걸렸는지 확인하는 검사법을 개발한 홍콩의 의사과학자가 2022년 래스커상 임상의학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세포가 다른 세포나 물질과 결합하는 데 도움을 주는 단백질 ‘인테그린’을 연구한 학자들과 신종 코로나바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연구진, 0차원 공허에서 새로운 메모리 기술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19
참여연구진이 UNIST 가막못 앞에서 촬영했다. 앞줄 왼쪽 첫 번째가 김태헌 울산대 교수, 두 번째가 오윤석 교수.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오윤석 물리학과 교수팀이 김태헌 울산대 물리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저항 변화’가 아닌 ‘유전율’을 이용해 정보를 저장하는 기술을 세계 최 ... ...
얼굴만 봐도 당신의 유전자가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4
스페인 호세 카레라스 백혈병연구소 연구팀이 얼굴 닮은꼴 16쌍을 조사해 얼굴이 닮으면 유전자 변이도 비슷하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셀 리포트' 8월 23일자에 발표했다. 프랑수아 브루넬/셀리포트 제공 얼굴만 봐도 몸속의 유전적 변이와 희귀 유전질환 여부를 단번에 알 수 있다는 연구 ... ...
비료 물 적게 써도 수확량 그대로...친환경 농업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2
에두아르도 블룸왈드(오른쪽)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 교수 식물과학부 연구팀이 벼 유전자 교정 실험을 진행했다.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 제공 에두아르도 블룸왈드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 교수 식물과학부 연구팀은 유전자를 교정해 땅 속의 질소 대신 공기 중 질소를 ... ...
‘우영우’ 앓는 자폐증 새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9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자폐증 환자와 가족의 대규모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해 자폐증 원인 중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유발 원인을 알아내는데 성공했다. 자폐증 원인을 새롭게 이해하고 치료법을 마련하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이정호 의과학대학원 교수 ... ...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빛 본지 10년...세상에 없었던 치료법이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01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은 최근 생명과학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술로 꼽히고 있다.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DNA에서 특정 부위를 잘라내 편집하고 교정하는 과정의 모식도. 위키미디어 제공. 미국의 생명공학기업 카리부 바이오사이언스가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로 면역세포의 유전자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지속가능한 연구실
2022.06.3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공장식 연구실도 문제로 지적됐다. 인공지능 분야처럼 학생 수요는 높은 데 비해 교수가 부족한 연구 분야는 한 교수가 많은 학생을 지도하기 때문에, 연구 지도나 검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얘기다. 윤 교수의 인공지능 연구실은 박사과정생만 37명이다. 석사과정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프라운호퍼와 한국 기술자의 몰락
2022.06.16
장인으로 시작해 과학자이자 엔지니어로 생을 마친 프라운호퍼의 묘비에는 그의 업적을 기리는 망원경이 그려져 있다. 위키피디아 제공 “그는 우리를 별에 더 가깝게 이끌었다”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 (1787~1826)의 묘비에 적혀 있는 글 프라운호퍼는 1787년 독일에서 유리직공인 아버지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