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료"(으)로 총 7,708건 검색되었습니다.
- AI·인간 합작한 최강의 수중 접착제동아사이언스 l2025.08.07
- 일본 홋카이도대 연구팀이 개발한 수중 접착제 'R1-max'로 고무 오리 '러버덕'을 파도가 치는 해변 바위에 붙여 성능을 테스트하는 모습. Hao Guo, Hongguang Liao, Hailong ... 유튜브(youtube.com/watch?v=i-mylcHmAZo)에서 이번 연구결과를 소개한 영상을 볼 수 있다. - doi.org/10.1038/s41586-025-09269- ... ...
- "탄소중립만으론 부족"…탄소 감축해야 기후 재앙 막는다동아사이언스 l2025.08.07
- 민승기 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 포스텍 제공. 이산화탄소 배출을 멈추는 '탄소중립'만으로는 강력한 태풍과 폭우의 위험을 막기 어렵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제시한다"며 "탄소 마이너스라는 과감한 목표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 doi.org/10.1038/s41612-025-01122- ... ...
- 에탄, 온실가스 줄이고 플라스틱도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25.08.07
- 왼쪽부터 KAIST 명재욱 교수, 박선호 박사과정. 미국 스탠퍼드대 충헌 신 박사, 크래이그 크리들 교수. KAIST 제공 한국과 미국 공동 연구팀이 메탄산화균의 대사 경로 ...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응용 환경미생물학'에 지난달 10일 온라인 게재됐다. - doi.org/10.1128/aem.00969-2 ... ...
- 감자, 튀기면 당뇨 위험 20%↑…쪄먹으면 영향 없어동아사이언스 l2025.08.07
- 감자가의조리 방법에 따라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감자 튀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감자가 조리 방법에 따라 ... “특히 통곡물은 건강한 식단의 일환으로 당뇨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 doi.org/10.1136/bmj-2024-07893 ... ...
- "미시 현상이 플라즈마 구조 바꿔"…국내 연구진, 난제 풀었다동아사이언스 l2025.08.07
- 우주에 존재하는 물질의 대부분이 플라즈마 상태로 존재한다. 서울대와 APCTP 공동연구팀이 플라즈마 물리의 난제 중 하나인 다중 스케일 연계 현상을 입증하는 ... 데 기여하는 것은 물론 새로운 핵융합 기술 개발의 기반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doi.org/10.1038/s41586-025-09345- ... ...
- 쓸모없다고 여긴 입자가 양자컴퓨터 돌파구로동아사이언스 l2025.08.06
- 양자컴퓨터의 한 유형인 '위상(topological) 양자컴퓨터'는 양자컴퓨터의 정보처리 단위인 큐비트(qubit)의 불안정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이상적인 형태로 꼽힌다. 게티 ... 좋은 이론을 제안하고 실험적 난관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 doi.org/10.1038/s41467-025-61342- ... ...
- 로봇 농게가 집게발 흔들자 진짜 농게가 '기싸움'동아사이언스 l2025.08.06
- 데이브의 집게발을 부러뜨려 실험을 중단하고 로봇을 재가동해야 했다"고 밝혔다. - doi.org/10.1098/rspb.2025.1570 영국 엑서터대 연구팀이 만든 로봇 농게 웨이비 데이브의 3D 모델. Joe Wilde ... ...
- AI가 설계한 단백질, 차세대 유전자 교정 효율 '업'동아사이언스 l2025.08.06
- 왼쪽부터 배상수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 박주찬 하버드대 의과대학 연구원, 엄희수 서울대 유전체의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생성형 인공 ... 단백질을 설계하고 효과를 동물 모델에서 입증한 최초의 사례"라고 강조했다. - doi.org/10.1016/j.cell.2025.07.010 ... ...
- 미세플라스틱, 단백질에 붙어 뇌세포 기능 해친다동아사이언스 l2025.08.06
- 결과로 향후 미세플라스틱 연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org/10.1021/acs.est.5c04146 (왼쪽부터) Janbolat Ashim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과학과 박사과정생, 최성균 핵심단백질자원센터장, 유우경 뇌과학과 교수. DGIST 제공 ... ...
- 韓美 공동연구팀, '인공태양' 핵융합로 내부 불순물 억제기술 확보동아사이언스 l2025.08.06
-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 내부 모습. 핵융합연 제공 한국과 미국 공동연구팀이 미래 에너지 생산 장치로 꼽히는 핵융합로 내부 불순물 발생을 줄이고 운전 안정성을 ... 역할을 위한 핵심기술 확보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doi.org/10.1088/1741-4326/adf12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