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능력
역량
소질
솜씨
자질
재주
힘
뉴스
"
재능
"(으)로 총 315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 논문도 변해야 한다
2020.01.17
불이익을 줄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존재할 수 있다는 뜻이다. 게다가 동료심사는 대부분
재능
기부 즉, 무료봉사로 이루어진다. 게다가 현대과학자들은 정말 바쁘다. 그 바쁜 시간을 쪼개서 인센티브도 없는 심사에 참여하는 과학자들의 심기가 좋을리 없다. 과학계의 출판경쟁이 과할정도로 ... ...
벽안의 과학자와 외국 과학기자가 한국 과학계에 추천하는 '대중과의 소통법'
동아사이언스
l
2019.12.07
“천문학과에서 시민에게 망원경으로 천체관측을 하도록 돕는 것은 즐겼으나 연구에는
재능
이 없다는 걸 느꼈다”고 고백했다. 하지만 과학 커뮤니케이션 문화에 관심이 큰 연구자들의 지지를 받아 기자가 됐다고 했다. 재스트로 기자는 “연구가 적성에 안 맞는 것 같다고 솔직히 말씀드렸는데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갈릴레오, 하늘을 보다
2019.11.14
하며 지냈다. 아마 그 무렵엔 부모의 억장이 무너지지 않았을까 싶다. 그래도 수학
재능
이 워낙 탁월해서 갈릴레오는 1589년 피사대의 수학교수로 부임했다. 일화에 따르면 수학교수로 처음 출근하던 날 피사를 가로지르는 아르노 강이 범람해서 출근조차 못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조선에서 ... ...
[인터뷰] "뛰어난 수학영재도 오래 붙잡고 있는 사람 쉽게 못이겨"
수학동아
l
2019.09.28
뻔했다. 물론 이후 열심히 수학에 정진했다는 일화를 자신의 블로그에 올렸다. 아무리
재능
있는 사람도 평범한 사람이 오랜 시간 붙들고 익힌 것을 노력 없이 금방 얻지 못한다. 수학은 모두에게 쉽지 않은 학문이어서 증가 속도가 점점 커지는 지수함수처럼 결국 오래 붙들고 있는 사람이 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계의 인종차별
2019.09.25
중 상당수는 곤경을 이겨내고 성공한 경우가 많다. 하지만 과학은 여전히 수백만의
재능
있는 인재들을 단지 그들이 처한 상황 때문에 잃고 있다. 이제 많은 연구자들은 과학계에 어떻게 젠더와 인종적 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지 고민하고 있으며,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고려가 과학에 매우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틸다의 유리천장
2019.08.29
그 분야 안에서
재능
이 간주되는 방식이라고 한다. 해당 분야를 전공하기 위해 필요한
재능
이 ‘타고 태어나는 것’인지 혹은 ‘노력을 통해 극복할 수 있는 것’인지에 따라 여성의 비율이 달라진다는 뜻이다. 2011년 미국 분자생물학 박사학위자의 54%는 여성이었고, 물리학은 18%에 불과했으며, ... ...
'1만 시간의 법칙' 따라도 전문가 되는 건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연주자들의 경우 20세까지 평균 1만 시간을 훈련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능력은 타고난
재능
보다 연습량에 달려있다고 주장했다. 이후 미국의 경영사상가 말콤 글래드웰이 저서 ‘아웃라이어’에서 연구를 인용하며 ‘1만 시간의 법칙’이라는 용어를 쓰면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 연구팀은 199 ... ...
세계 학생들 모여 미래식탁 만드는 게임 개발 실력 겨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통해 창의적 사고와 리더십을 배양하는 기회를 주고 있다”며 “게임 관련 다양한
재능
과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팀웍을 통해 새로운 게임 캐릭터를 개발하는 등 게임산업 발전을 위한 아이템 발굴의 장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
[주말N수학]"연결지성으로 문제 해결하는 폴리매스형 인재에 주목하라"
수학동아
l
2019.08.03
19세기 중반에 활약한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이 이런 능력이 특출났죠. 어릴 때부터 수학에
재능
을 보였던 나이팅게일은 대학 수준의 수학을 독학한 뒤 간호사가 됩니다. 이후 80만 명 이상이 사망한 크림 전쟁에 참전합니다. 나이팅게일은 사망자 데이터를 모아 분석한 끝에 많은 젊은이가 사망한 주요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플라톤의 하늘, 아리스토텔레스의 땅
2019.07.25
스승은 수학을 좋아했던 반면 제자는 감각경험을 중시했다. 게다가 제자는 그런 방면에
재능
도 뛰어났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동물을 관찰하고 분류한 결과는 린네가 근대적인 분류체계를 세운 18세기까지 그 명맥을 유지했다. 무려 2천 년이 넘는 세월이다. 생물학뿐만 아니라 아리스토텔레스는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