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론
정견
정교
뉴스
"
정설
"(으)로 총 146건 검색되었습니다.
얼음 왜 미끄럽지… 과학계도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18.02.23
매끈하게 다듬는다. 온도를 높이기보단 표면을 다듬는 동작으로 봐야 한다. 현대에
정설
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표피층 이론’이다. 얼음 표면엔 보이지 않을 정도로 얇은 수막이 원래부터 항상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 이론은 영국 과학자 마이클 페러데이가 1895년 처음 제시했다. 이후 여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성과로 개의 기원이 기존 1만2000년에서 3만 여 년 전으로 한참 올라간 게 이제는 확고한
정설
이 됐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기사 말미에는 “7000~9000년 전 개부터 진짜 ‘개’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라는 스페인 레이후안카를로스대 애비 드레이크 연구원의 코멘트가 인용됐기 때문이다. 개가 ... ...
2018년 황금 개의 해 아닌 황금 늑대의 해일 수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5
수 있을 정도다. 현생 동물조차 구분이 어려운 만큼 개의 기원을 찾는 일도 쉽지 않다.
정설
은 3만3000~3만6000년 전 공통 조상에서 개와 늑대가 분리됐다는 설이다. 2013년 러시아 알타이 산맥에 있는 동굴에서 발견된 3만3000년 된 개 화석이 이 주장을 뒷받침한다. ‘알타이 개’로 불리는 이 화석에서 ... ...
35억년 전 생명 탄생 증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남아 있을 가능성은 아주 작다”고 말했다. 한편, 생명체가 35억 년 전에 있었음이
정설
로 굳어짐에 따라 과학자들은 ‘창백한 태양의 역설’을 설명해야 하는 과제가 생겼다. 태양의 진화 단계상 20억 년 전까지는 태양빛이 약해 지구에 액체 상태의 물이 있을 수 없다는 이론이다. 그러나 화석 ... ...
“현생인류, 12만 년 전 아프리카 벗어나 아시아에 첫 발”
동아사이언스
l
2017.12.08
이주를 시작했다는 사실이 새롭게 드러나고 있다. - 크리스토퍼 배/사이언스 제공 이
정설
에 먼저 카운터펀치를 날린 것은 고인류학자들이다. 이들은 아시아 땅에 6만 년 전보다 훨씬 이전에 현생인류가 퍼졌다고 주장한다. 근거는 최근 발견되고 있는 화석이다. 올해 8월 네이처에는 인도네시아 ... ...
왼손잡이의 비밀, 아프리카 물고기가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9
뇌에서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를 나누는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이 오랫동안 학계의
정설
이었지만, 뇌가 아닌 척수가 이를 결정한다는 새로운 가설도 제시됐다. 최근에는 좌우행동 경향성의 행동발달 과정을 아프리카 물고기를 통해 밝히려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하등생물인 예쁜 ... ...
파킨슨병 원인, 30년 만에 뒤집혔다
과학동아
l
2017.10.29
나타났다(②). 반발성 흥분을 억제했더니 증상이 완화됐다(③). - KAIST 제공 30년 동안
정설
로 받아들여졌던 파킨슨병의 원인이 최근 뒤집혔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뇌에서 운동을 관장하는 부분(기저핵)에서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부족하면 운동신경이 억제돼 파킨슨병이 생기는 것으로 ... ...
[뉴스 되짚어보기] 뒤바뀌는 인류 연표… ‘사피엔스’의 시대는 언제부터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7.10.18
8, 16046 리뷰 4 : 지금까지 왜 몰랐나… 이쯤에서 한 가지 의문이 듭니다. 30년을 이어온
정설
은 그럼 뭐였을까요(해맑). 30년 동안 고인류학자와 유전학자들은 헛물만 켜고 있던 걸까요? 아니겠죠. 약 20만 년 전에 최초의 인류가 등장했다는 이야기는 거짓이 아닙니다. 최근까지 학자들 사이에 논쟁이 ... ...
창조과학이 과학이 아닌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7.09.04
평가를 거치기 위해서다. 이 과정을 모두 거쳐 인정을 받아야만 가설은 마침내 학계의
정설
로 자리 잡는다. 이 모든 과정을 거치며 과학자라면 반드시 지켜야 하는 덕목이 있다. ‘내가 세운 가설은 틀릴 수 있다’는 열린 마음가짐이다. 실험과 검증을 통해 가설에 오류가 드러난다면, 과학자는 ... ...
최초의 미국인은 어디서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13
통로를 이용한 이동이
정설
처럼 됐던 것. 하지만 과학자들의 여러 연구 결과로 인해 이
정설
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과학자들이 얼음 없는 통로 지역 땅을 연구한 끝에 이곳에 식물이 처음 등장한 것이 1만2600년 전이라는 분석을 내놨기 때문이다. 클로비스 문화가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