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가
인척
겨레
가족
가정
집안
친족
뉴스
"
친척
"(으)로 총 287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코로나시대 전세계 마스크 쓰레기 매월 1290억개...해결 방법은
과학동아
l
2020.10.31
나무 섬유 등 자연소재로 만든 ‘바이오 플라스틱’ 개발이 대표적이다. 바나나 나무의
친척
격인 ‘아바카(Abaca)’ 나무에서 섬유를 추출해 플라스틱으로 만들면 조금 덜 단단하지만 유기물이라 잘 분해되는 장점이 있다. 자연적으로 썩히는 게 어렵다면 버릴 플라스틱에서 필요한 물질을 ... ...
3만4000년 전 동아시아인은 코스모폴리탄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3만4000년 전 살았던 현생인류 여성으로, DNA에서 북시베리아인 및 서유럽인의 DNA와
친척
고인류인 ‘데니소바인’의 유전자가 발견돼 당시 동아시아인이 이미 다른 지역의 다양한 인구집단과 섞이며 복잡한 유전적 영향을 주고받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스반테 페보 독일 막스플랑크 ... ...
코로나19 중증 비밀 '네안데르탈인 유전자'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8
9) 감염된 사람 중 중증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는 유전자가 수만 년 전
친척
인류 네안데르탈인으로부터 현생인류(호모사피엔스)에게 전달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가 또 나왔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중증 환자와 관련된 원인을 찾는 과정에서 네안데르탈인으로부터 이어온 유전자를 ... ...
[잠깐과학] 다이너마이트의 발명가 노벨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0.10.17
각국에 흩어진 노벨의 재산을 모아 소송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종하는 동시에 노벨의
친척
들을 설득해 불만을 가라앉혔다. 이후 노벨 재단을 만들어 노벨상 수여 작업을 추진했다. 결국 첫 번째 노벨상은 1901년 12월 10일, 노벨이 세상을 떠나고 5년이 지나서야 수여될 수 있었다. X선을 발견한 독일의 ... ...
노벨상 수상자들이 발견한 C형 간염바이러스는 침묵의 위협자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등을 섭취하는 과정을 통해 감염된다. 주로 경구를 통해 감염되며, 환자를 통해 가족이나
친척
, 인구밀도가 높은 곳에서 집단 발생하기 쉽다. B형 간염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혈액에 노출되거나, 감염된 사람과 성 접촉을 했을 경우 전염된다. 출산 도중 모체로부터 감염되기도 하는데 자연분만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명절 대화 '이것'만은 피하라
2020.10.03
대화하기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진다. 올해 명절은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에
친척
모임이 적겠지만 이맘때면 떠오르는 주제인 만큼 어색한 대화를 쉽게 풀어가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하자. 인간은 사회적 동물인 만큼 태어나는 순간부터 다양한 관계에 둘러 쌓여 살아간다. ... ...
현생인류 Y염색체 밀려난 네안데르탈인 남성 유전자
동아사이언스
l
2020.10.02
공동으로 네안데르탈인 3명의 Y염색체를 해독해 이를 현생인류 및 또다른
친척
인류인 ‘데니소바인’과 비교한 결과 약 10만~35만 년 전에 현생인류 조상이 아프리카 밖으로 진출해 유라시아 대륙의 네안데르탈인과 만났으며, 그 과정에서 남성 후손에게 현생인류의 Y염색체를 집중적으로 남겨 결국 ... ...
‘따로 한마음’ 비대면 추석…“차례상 인증샷 찍어
친척
들과 공유”
동아일보
l
2020.09.29
고민이 깊었다. 그런데 할머니가 먼저 “내려오지 말라”고 연락해오셨다. “다른
친척
들도 고심이 컸을 텐데, 할머니께서 먼저 ‘아무도 내려오지 말라’고 모두에게 공지하셨어요. 당연히 서로 만나지 못하는 건 아쉽지만, 이렇게 해야 가족도 지키고 함께 코로나19 방역에 기여할 수 있다고 ... ...
코로나19 바이러스, 박쥐 몸 속에서 40~70년 전 생겨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7.29
확인됐다. 두 바이러스가 같은 조상은 가졌으나 서로에게서 진화한 형태는 아닌 ‘
친척
’ 격이란 것이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같은 조상을 갖는 바이러스들은 표면에 달린 스파이크 단백질에 인간 세포와 결합할 수 있는 수용체 결합 도메인(RBD)을 가진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 ...
금속 '망간' 먹는 박테리아 첫 발견…에너지원으로 활용
연합뉴스
l
2020.07.16
바이오매스로 전환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리드베터 교수는 "새 박테리아의
친척
뻘 되는 미생물이 지하수에 있다는 증거가 있다"며 "대학이 있는 패서디나 일부 지역의 음용수는 지하 대수층에서 뽑아 올린다"고 말했다. 실험실에서 망간이 담긴 유리그릇에 검은색 망간산화물이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