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중
하늘
천공
공간
천계
스카이
우주
뉴스
"
허공
"(으)로 총 115건 검색되었습니다.
[헐크 호건 사건의 또다른 교훈] 인터넷은 망각하지 않는다
2016.03.24
우리는 종종 위험 수위를 넘나드는 농담이나 발언을 하곤 합니다. 그 이야기들은 대부분
허공
으로 사라져 버리죠. 그러다 채팅 프로그램이 나오고 스마트폰이 나왔습니다. 우리는 점점 더 많은 대화를 메신저로 합니다. 대면해서 하는 대화보다 부담없고 여러 사람이 언제 어디서나 함께 참여할 수 ... ...
[Quiz] 구글 글래스는 VR일까 AR일까
2016.03.07
HMD)가 꼽힙니다. 이반은 당시 ‘다모클레스의 검’으로 불리는 이 장치를 통해 모니터 밖
허공
의 화면에 머리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이동하는 도형을 구현하는데 성공해 화제가 됐습니다. 이 획기적인 연구 이후 1992년 보잉사의 톰 코델과 데이비드 미젤이 ‘Augmented Reality’라는 단어를 처음 ... ...
한계를 모르는 러시아 여자 체조 선수들
팝뉴스
l
2016.02.24
촬영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여성이 두 손과 한 발로 균형을 잡고는 다리 하나를
허공
으로 뻗었다. 그 여성의 발을 잡고 다른 여성이 물구나무를 섰다. 여기까지도 놀라운데 위에 있는 여성은 몸을 뒤로 꺾는다. 유연하고 우아하고 파워풀하다. 보고 있으면 마음이 조마조마해진다. ‘인간 한계를 ... ...
어디서나 펼치는 ‘풍선 소파’ 인기
팝뉴스
l
2016.02.18
있는 소파가 해외 누리꾼 사이에서 인기다. 작은 가방에서 꺼내고 펴서 입구를 벌린 후
허공
에서 흔들어 공기를 담으면 된다. 이제 입구 부분을 여미면 소파가 탄생한다. 아무데서나 누워서 편히 쉴 수 있다. 잔디밭에서, 산꼭대기에서, 해변에서 그 어디에서도 나의 편안한 소파가 뚝딱 생긴다. 아주 ... ...
[책의 향기]트라우마, 과거에 갇힌 사람들
동아일보
l
2016.01.23
톰은 정찰을 나갔다 기관총 공격으로 동료들이 순식간에 숨지는 광경을 목격했다. 발이
허공
에 붕 뜬 채 논에 얼굴을 박고 있는 이는 유일한 진짜 친구 알렉스였다. 변호사로 성공했지만 톰은 베트남 밀림을 연상시키는 무성한 나무, 불꽃놀이만 봐도 정신을 잃을 정도로 분노에 휩싸였다. 9·11테러, ... ...
양자의 중첩이 만들어내는 가장 빠른 컴퓨터, 퀵실버 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15.12.01
위에 떨어진 동전은 이미 앞면 혹은 뒷면, 0 또는 1로 결정돼 있다. 반면 양자 컴퓨터는
허공
에 떠있는 동전이다. 앞면일 수도 있고 뒷면일 수도 있다. 손바닥에 가까이 내려온 동전을 자세히 보니 앞면이 나올 확률이 70%정도, 뒷면이 나올 확률이 30% 정도로 보인다. 양자 역시 마찬가지다. 0인지 ... ...
드론 날리며 가상 현실 체험해 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0.19
전시된 ‘움직이는 공’은 높이 4m, 가로 6m의 공간에 297개의 크리스탈 물방울 조각들이
허공
에서 영롱한 빛깔을 빛내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하고 움직인다. 관람객들은 과학과 예술이 빚어낸 아름다운 광경을 놓치지 않기 위해 연신 카메라 플래시를 눌렀다. 이밖에도 ... ...
로봇 팔 끼고 사과 따기 게임 해보실래요?
2015.08.21
화면에 나타나고 ‘사과 따기’ 게임이 시작된다. 사과를 따는 방법은 간단하다.
허공
에 대고 사과를 따는 시늉을 하는 것. 오른쪽 사과를 따고 싶으면 팔을 오른쪽으로 옮긴 뒤 실제 사과를 잡듯 손을 오므리면 된다. 사과 따기 게임은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재활 치료 프로그램이다. 뇌중풍 ... ...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처럼 가상현실 조종
2015.08.05
제공 입체안경을 낀 사람이 손을 들어
허공
을 툭툭 찌르자 화면 속에 쌓여 있는 나무토막 하나가 밀려 떨어졌다. 곧이어 화면 속에 있는 다른 사람도 막대를 하나 밀어냈다. 일명 ‘가상현실 젠가’ 게임이다. 이들은 서로 다른 공간에서 가상현실에 접속해 게임을 즐기는 중이다. 박정민 ... ...
2014 브라질월드컵 ‘기적의 시축’ 만든 니콜렐리스 교수
2015.05.20
교수는 “지난해 시축을 한 줄리아누는 1년간 계속 훈련을 해 걷지는 못하더라도
허공
에서 다리를 움직일 수 있는 수준이 됐다”고 말했다. 뇌의 일부가 훼손되더라도 다른 부위가 그 기능을 넘겨 받아 역할을 수행하는 뇌의 특징(뇌 가소성) 덕분이다. 최근 니코렐리스 교수는 여러 대상이 하는 ... ...
이전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