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갯수
수효
수리
수선
손질
수량
분량
스페셜
"
개수
"(으)로 총 15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레예프는 왜 희토류 원소를 싫어했을까
2019.02.19
빈칸)를 찾는 연구가 치열하게 벌어졌다. 헨리 모즐리가 원소의 정체성이 양성자의
개수
에서 온다는 사실을 밝힌 이후 1915년 무렵 나온 주기율표로 3족 스칸듐(Sc)과 이트륨(Y) 아래 란타넘(La)과 악티늄(Ac)이 보인다. 오늘날 주기율표와는 달리 토륨(Th)이 4족, 우라늄(U)이 6족에 배치돼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좀처럼 늘지 않는다. 위성세포의 분열능력이 부실해 근육세포에 더해지는 세포핵
개수
가 얼마 안 되기 때문이다. 근육세포의 세포핵을 쉽게 늘릴 수 있는 젊을 때 근력운동을 게을리한 대가인 셈이다. 근육판 ‘개미와 베짱이’라고 할까. 기존 근핵영역가설에 따르면 근력운동으로 근육을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②코딩, 무엇으로 배울 것인가
2019.01.28
마인크래프트 등 게임하듯이 접근한 ‘코드닷오알지’의 방식은 독특했다. 특히 명령어
개수
를 제한한 조건으로 미로 찾기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앵그리버드 교안은 문제 해결 과정으로서 코딩을 교육하는 데 매우 적합해 보인다. 하지만 치명적 단점을 찾는 데 긴 시간이 필요하지 않다. 한국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
2018.12.25
닿을 수 있을까. 고양이 털은 겉에 보이는 보호털과 그 아래 있는 솜털로 이뤄져 있는데,
개수
로 솜털이 24배 정도 더 많다. 그런데 솜털은 아주 가늘어 털로 덮인 공간에서 실제 털이 차지하는 부피는 3%에 불과하다. 나머지 97%는 공기인데, 이런 구조 덕분에 단열(보온)이 잘 돼 겨울에도 체온을 잃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00년 전 가야시대에 정말 차나무가 들어왔을까
2018.12.11
게놈과 거의 같다. 차나무는 게놈에서부터 사람과 인연이 있는 걸까. 하지만 유전자
개수
는 크게 차이가 나서 2만여 개인 사람보다 훨씬 많은 3만3932개(중국종)와 3만6951개(아삼종)으로 추정된다. 움직이지 못하는 식물은 다양한 화합물을 만들어 대응하므로 어는 정도 예상한 결과다. 한편 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
2018.12.05
띠면 안정한 분자가 된다. 그런데 몇몇 PAH는 라디칼이 돼야 공명을 할 수 있는 전자
개수
를 맞출 수 있다. 그 결과 이런 PAH는 만들어지자마자 수소원자 하나가 떨어져 나가면서 라디칼이 된다. 이렇게 형성된 라디칼은 안정하면서도 반응성은 큰 독특한 특성을 지녀 연구자들은 ‘공명-안정화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늘고 있어 2030년에는 두 항목이 ICT 전력사용량의 대부분을 차지할 전망이다. 콘텐츠의
개수
가 늘어나는 데다 파일 하나당 용량도 커지기 때문이다. 과거 4K 방송을 주도한 일본 NHK는 2020년 도쿄 올림픽을 겨냥해 8K 방송을 준비하고 있다는데, 현재 2K에서 4K에서 넘어가고 있는 것처럼 세계가 또 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신경세포 분류학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3
만드는 전사 유전자들의 RNA 염기서열 차이를 확인했고, 그에 따라 가바 수용체의
개수
나 활성정도 등이 달라진다고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신경세포 종류를 새로 분류한 것이다. 타직 연구원은 “뇌 속 신경세포 연구 중 가장 포괄적으로 진행된 작업으로 15년의 걸친 분석 작업의 결과”라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바꾼 것이다. 게놈편집기술로 야생 토마토(WT)의 FAS 유전자를 고장 내자(fas 5) 꽃잎
개수
가 늘고 열매가 커졌다. -‘네이처 생명공학’ 제공 다섯 번째 베리를 꿈꾸며 한편 학술지 ‘네이처 식물’ 10월호에는 게놈편집을 이용한 식용꽈리의 작물화라는 특이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다양한 독액 펩티드의 구조. 아미노산 시스테인 사이의 이황화결합(빨간색)
개수
에 따라 분류했다. 이황화결합이 많을수록 펩티드가 더 안정하다. 오른쪽 위 Prialt는 청자고둥의 펩티드 지코니타이드의 제품명으로 2004년 출시된 강력한 진통제다. 그 아래 ShK는 융단열말미잘의 펩티드로 이를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