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단
대
교단
지휘대
단체
강단
구
스페셜
"
단
"(으)로 총 1,03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독자 우주발사체 능력 확보했다...누리호 두번째 시도끝에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달리 성능검증 위성이 탑재됐다. 수 kg의 큐브위성 4기를 우주 궤도에 올려 놓으며 엔진
단
분리 기술과 위성보호 덮개(페어링) 분리 등 어려운 기술을 다시 한번 성공하면서도 누리호의 우주궤도 투입 성능을 증명했다는 평가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한국 우주의 미래가 활짝 열렸다”며 ... ...
[영상+]누리호 예상보다 17초 빠른 950초 만에 위성모사체 분리…발사 긴박했던 순간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127초 연소하면서 고도 59km까지 올랐다. 동시에 1
단
로켓은 분리되고 75t 엔진 1기를
단
2
단
로켓이 시속 6480km 속도를 내며 점화한 것이 확인됐다. 2
단
로켓이 점화된 누리호는 고도를 높여 가다 발사 235초 후 고도 191km를 지날 때 위성을 보호하는 덮개인 페어링을 분리했다. 발사 245초 후에는 고도 20 ... ...
"누리호 발사 성공 기준은 초속 7.5km 700km 상공에 위성 올려놓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18 시간이 지난 22일 오전 10시 대전 지상국과 교신하면서 확인할 수 있다. 누리호의 3
단
에 설치된 텔레메트리 정보를 입수해서 정확한 고도에서 정확한 속도로 분리됐는지 확인할 수 있다. Q 700km 상공에서 성능검증위성과 위성 모사체가 두 개 다 성공적으로 투입돼야 성공인가 A 명확한 기준은 ... ...
누리호 오후 4시 발사 확정 "날씨·우주물체·준비 상황 양호"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우주발사체다. 300t급 추력을 갖춘 1
단
은 75t급 액체엔진 4개, 2
단
은 75t급 액체엔진 1개, 3
단
은 7t급 액체엔진을 장착하고 있다. 2010년부터 1조 9572억원을 들여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했다. ... ...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상용화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연구팀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발광 효율 저하의 주요 요인인 트라이온 재결합을 차
단
하기 위해 은 나노막대 광결정 기판을 적용, 결합 경로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트라이온 재결합을 제거하고 고효율 발광에 유익한 엑시톤 재결합 경로가 확대돼 발광의 안정성을 높이는 ... ...
과기정통부 "누리호 준비 상태와 기상 상황, 오늘 발사하기 적합"...추진제 충전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우주발사체다. 300t급 추력을 갖춘 1
단
은 75t급 액체엔진 4개, 2
단
은 75t급 액체엔진 1개, 3
단
은 7t급 액체엔진을 장착하고 있다. 2010년부터 1조 9572억원을 들여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했다. 6월 20일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전남 고흥 외나로도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 기립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
[누리호 2차 발사]발사와 관련된 세 가지 과학기술 상식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수평과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항우연은 클러스터링 기술을 확보해 지난해 1월 누리호 1
단
에 적재된 300t급 엔진의 연소시험을 30초간 진행했으며, 지난해 10월 1차 발사를 통해 기술을 입증했다. 이를 통해 한국의 중대형 로켓 엔진 제작의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 나로호·시험발사체·누리호 비교. ... ...
[누리호 2차 발사]후속 발사로 신뢰성 높이고 차세대 발사체로 달 착륙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개발을 통해 본격적인 우주탐사 능력을 확보하게 된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설계
단
계부터 민간이 참여하는 첫 발사체 개발 사업으로 민간의 발사체 개발 역량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누리호 2차 전체 비행궤도를 CG로 담았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https://tv.naver.com/v/27315463 ... ...
[누리호 2차 발사]성공을 위한 결정적 순간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약 100km 떨어진 곳을 지나 비행한다. 1
단
은 발사장에서 약 413km 떨어진 해상에 착륙하고 2
단
은 발사장에서 2800km 떨어진 해상에 떨어진다. 페어링 분리는 발사장에서 251km 떨어진 고도 191km에서 이뤄지는데 실제 낙하지역은 발사장에서 1514km 떨어진 해상으로 예측된다. 장 부장은 “실제 사람이 살지 ... ...
[누리호 2차 발사]1차 발사와 무엇이 다른가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그런 다음 위성 모사체가 분리된다. 이 과정이 모두 끝나면 임무에 성공한 것으로 판
단
한다. 남극세종기지에서 발사 약 46분 후 성능검증위성과 최초로 교신하고, 이후 2시간 동안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국과 지속적으로 교신을 이어간다. 발사 4시간 뒤에는 남극세종기지에서 자세 안정화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