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스페셜
"
발견
"(으)로 총 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바뀌어 신호가 발생한다.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아뎀 파타푸티언 교수는 2010년 Piezo2를
발견
한 공로로 2021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그런데 이번 연구에 따르면 피부에 아무것도 닿지 않고 단지 각질층이 건조해지는 것만으로도 메르켈세포의 막에 영향을 주기에 충분한 변형력이 발생한다. 얼굴 ... ...
[표지로 읽는 과학] 금화조의 구애에서
발견
한 도파민 분비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11.11
무늬가 있는 새가 수컷이다. 금화조의 야생 원종은 19세기 초 유럽에서 처음
발견
됐다. 오늘날에는 애완조로 인기가 높다. 주로 식물의 씨앗을 먹고 번식기에도 먹이를 먹지 않는다. 금화조는 좁은 금속 새장에서도 잘 적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무리의 새와도 마찰 없이 잘 지낸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용 성형수술, 전쟁터에서 시작됐다
2023.11.05
미용을 위해 성형수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처음 보여주었다. 마취제와 무균처리법이
발견
된 19세기 후반 이후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향상된 수술법이 많이 개발되어 아래에 기술할 피부를 이식하는 시술이 행해지게 되었다. 유틀란트 해전 에서 부상을 입은 수병 월터 여( Walter Yeo) 는 191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팔 전쟁 해법은...'집단적 감정'은 어떻게 움직일까
2023.10.28
것보다 싸워서 이기는 것을 더 선호하는 사람이라면 분노를 더 자주 더 크게 느낀다는
발견
들이 있었다. 포랫에 의하면 집단적 감정도 마찬가지다. 집단의 목적이 무엇이냐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을 보인다. 예를 들어 분쟁이 일어난 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보다는 싸워서 이기는 것이 우리 ... ...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
2023.10.27
보이는 특징들이 꾸준히 보고되어 왔다. 식물이 외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는 최초
발견
은 1966년 예일대 마크 제피(Mark J Jaffe)와 아서 갤스톤(Arthur Galston)의 연구로 보인다. 이들은 알래스카 콩 식물의 줄기가 자라나는 모습을 관찰한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doi.org/10.1104/pp.41.6.1014). 이 식물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반갑지 않은 빈대의 귀환
2023.10.25
접수되었다고 한다. 특히 외국인 학생이 머무는 대학교 기숙사에서 빈대가 자주
발견
되었다. 다행히 빈대가 다른 곳으로 퍼진 경우는 없었다. 이번에는 사정이 다른 모양이다. 유럽과 미국의 사정이 심상치 않다. ‘공중보건 위기’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특히 올림픽을 개최해야 하는 프랑스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의 '에이즈' 치료제는 폐기처분된 항암제
2023.10.22
도움이 될만한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한다. 코로나19가 거의 해결된 지금까지도 특효약은
발견
되지 않았지만 증세가 심했던 환자들 중에서 회복된 사람들은 약의 도움을 받은 경우가 많다. 비록 코로나바이러스를 죽이거나 증식을 막아서 환자를 금세 치료하는 특효약은 아니더라도 다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두 가지로 서로 이성질체다. 그 뒤 카로틴처럼 탄소 40개 골격을 지닌 분자들이 속속
발견
되면서 이를 묶어 카로티노이드(carotinoid)라고 부른다. 주황색인 카로틴과 함께 노란색인 루테인과 빨간색인 라이코펜이 대표적인 카로티노이드다. 뿌리가 흰색(엄밀히는 옅은 노란색)인 야생 당근에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정적 생각을 '생각'할 줄 알아야 한다
2023.10.14
할 수 있는 것이 없고 앞으로도 영원히 아플 거라는 다소 비합리적인 신념이 있다는 점도
발견
할 수 있었다. 꾸준히 치료를 받는 것이 분명 도움이 되고 전반적인 건강 관리를 잘 하면 좋아진다는 것도 경험을 통해 분명히 알고 있다. 하지만 우울감에 깊이 빠져 있을 때면 마치 마음에 검은 장막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도 혁신이 필요하다
2023.10.11
과학자에 대한 성차별 문제도 더 이상 용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DNA 이중나선 구조의
발견
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는데도 노벨상을 받지 못한 로절런드 프랭클린이 대표적인 예다. 훗날 수상 업적이 엉터리로 밝혀지기도 했고, 1949년 안토니우 모니스의 전두엽 절제술처럼 윤리적으로 용납할 수 없을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