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역할
책무
책임
노무
본분
의무
스페셜
"
임무
"(으)로 총 623건 검색되었습니다.
탈원전폐기·항공우주청 경남 신설…尹 정부 110대 국정과제 속 과기 공약은
동아사이언스
l
2022.05.03
정부의 기조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와 함께 국가 수요를 반영한
임무
지향형 기초연구 투자를 확대하고 전략기술 분야 핵심 연구 인력을 확보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디지털 경제 패권국가 실현을 위해서는 대규모 도전적 AI R&D를 추진하고 AI반도체를 육성하기로 했다. ... ...
과기정통부는 왜 해외도, 대통령도 주목한 첫 소행성 탐사를 외면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5.03
개량하면 발사 가능한 목표 중량이 534kg에 불과한데 탐사선과 발사체 무게가 증가하면
임무
가 실패할 위험이 크다는 지적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아포피스 소행성이 근접할 때를 맞추려면 2027년 발사가 불가피한데 탐사일정을 미루기 여렵다는 점이 큰 부담이었던 셈이다. 실제로 달 ... ...
우주날씨 관측위성 '도요샛' 금년 발사 어려울 듯…아리랑6호·차중 2호도 점점 '불투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5.02
도요샛은 지구 북극과 남극 위를 통과하는 고도 500km의 극궤도에서 우주 날씨를 관측하는
임무
를 수행한다. 나노급 위성으로는 세계 최초로 편대 비행을 하는 것은 물론 궤도 비행 중 위성 간 간격을 제어하며 일렬로 비행하는 종대 비행과 나란히 비행하는 횡대 비행도 가능해 우주 플라즈마 분포의 ... ...
헬기에서 떨어지는 로켓 낚아채 재사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02
제거기술 시연위성 오로라샛-1 등을 배치하는 한편 지상에서는 1단 부스터를 회수하는
임무
가 동시에 진행된다. 로켓랩이 공개한 발사 계획에 따르면 발사 1시간 전 미국 시콜스키사의 시콜스키 S-92를 개조한 회수용 헬기가 발사장으로부터 약 150해리(277.8km) 떨어진 회수 예상지점에서 대기한다. ... ...
[우주산업 리포트]위성 지구관측에 돈이 몰리고 있다
2022.04.29
관련 기술이 발전한 가운데, 시장의 반응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귀중한 우주
임무
를 수행할 수 있는 소형 센서, 위성 및 발사체로 이어졌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발사되는 위성의 수를 증가시켰다. 소형 위성은 일반 위성과 비교할 때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하나의 발사체로 많은 위성을 ... ...
우리가 예타서 뺀 '아포피스' 탐사 '오시리스-렉스'가 맡는다
연합뉴스
l
2022.04.27
기원에 관해 앞으로도 계속해서 가르쳐 줄 것이라는 점이 자랑스럽다"면서 "연장
임무
를 맡은 오시리스-에이펙스는 소천체 탐사 분야에서 애리조나 대학을 주요 기관 중 하나로 유지하고 우주과학에서 신뢰할만한 능력을 다시 입증할 것"이라고 했다. 연합뉴스 ... ...
애스트로보틱스, 아폴로 프로그램 이후 첫 달 착륙선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04.25
우주 배송서비스의 상용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올 4분기 발사되면 총 24가지
임무
를 수행하게 된다. 24개 중 11개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것으로 미국 카네기멜론대의 로버(탐사로봇) 등도 실린다. 페레그린은 우주 환경 테스트를 수행하고, 발사장으로 이동할 예정이다. 존 손턴 ... ...
반도체·양자·우주 등 전략기술 R&D 민간에 전권 부여…민간전문가, PM으로 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2
추진하기로 했다. 민간 전문가를 프로그램 매니저로 기용해 전권을 부여하고, 범부처
임무
지향형 R&D 프로젝트를 기획하는 것이다. 프로젝트엔 민간기업도 참여한다. 공공 연구 성과를 민간이 활용해 사업화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과학기술교육분과는 21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 ...
미국 아르테미스 계획 시작부터 '삐걱' 달 탐사용 로켓 시험 잠정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22.04.18
태우는
임무
를 지난해 수행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계속된 개발 지연으로 아르테미스
임무
의 전체 일정에 문제가 생기고 있다. NASA는 아직 SLS의 첫 비행 날짜를 정하지 않았다. 아르테미스 미션 전체의 연기 가능성이 제시된다. NASA 아르테미스 미션 책임자인 찰리 블랙웰 톰슨은 “SLS 개발 성공을 ... ...
[산업게시판] 무인이동체 인재양성 컨소시엄에 2028년까지 300억 원 투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15
참여하는 컨소시엄이 최종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사업은 무인이동체 시스템을
임무
에 기반해 설계하고 제작과 실증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전문고등인력과 산업 인력을 양성하는 사업이다. 2028년까지 300억 원이 투입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달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이 232억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