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모
모피
수염
가스랑이
모서리
귀퉁이
털실
스페셜
"
털
"(으)로 총 13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이상 코로 숨을 쉬기 마련이다. 이처럼 코를 통한 호흡이 디폴드모드인 것에 대해 “코
털
에서 이물질이 걸러지고 비강에서 체온에 맞게 온도가 조절된 공기를 폐로 보내기 위해서”라는 생리적 관점의 설명이 있다. 그런데 코를 통한 들숨의 또 다른 기능은 냄새를 맡는 것이다. 화학적 감각, 즉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과정이 그럼처럼 전개되고 있다. 게다가 사람의 결과를 뒷받침하기 위해 영장류인 붉은
털
원숭이를 대상으로 같은 실험을 했고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즉 사람보다는 감소폭이 덜하지만 나이가 듦에 따라 성체 신경생성 능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왔다. 다만 이 논문은 사람 시료에 약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멜라닌소체는 대부분
털
로 가고 따라서 피부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데 귀에는
털
이 없어 만들어진 멜라닌소체의 일부가 진피로 넘어가 대식세포가 먹은 것으로 보인다. 연구자들은 이 과정을 규명하다가 ‘그렇다면 문신 안료도?’라는 데까지 생각이 미친 것이다. 진피에는 다양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
2018.02.13
사실을 밝혀냈다. 즉 초파리는 주둥이 끝에 난
털
을 통해 맛을 느끼는데 그 가운데 작은
털
여섯 개에서 칼슘맛을 담당하고 여기에 이들 세 수용체가 관여한다. 한편 초파리는 장기적으로 건강에 해로운 칼슘이 없는 먹이와 몸에 좋은 적당한 칼슘이 있는 먹이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암각화에 등장하는 개 다수는 어깨나 가슴 쪽 돌을 깎지 않은 상태다. 이는 이 부분의
털
색깔이 다르다는 걸 부각시키기 위함으로 보인다. 그림 아래 사진 두 장은 암각화에 등장한 개다. 그림을 잘 보이게 하기 위해 깎은 부분은 밝은 색으로 처리했다. 연구자들은 암각화의 그려진 개의 모습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
2017.02.21
연구도 다윈이 원조인 셈인데, 실제 그가 만든 용어들도 꽤 된다. 끈끈이주걱의 잎에
털
처럼 난, 끈끈한 점액이 묻어있는 돌기를 촉수(tentacle)라고 부른 것도 다윈이다. 식충식물이 사로잡은 벌레를 분해하기 위해 소화액을 분비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기도 했다. 이처럼 식충식물의 과학이 정립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
과 땀샘의 음양이론
2017.02.07
지금 생각해보면 자연스런 결과다. 예전에 서구의 한 여성이 동아시아 남자들은 몸에
털
이 없어 남자로 느껴지지 않는다고 말하는 걸 들은 적이 있는데, 이런 연구 결과를 들려주면 생각이 좀 바뀔지 문득 궁금해진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사이언스 지식IN] 조류독감 유행인데, 치킨 먹어도 되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19
정상적인 닭고기는 닭을 잡을 때 피를 빼기 때문에 살이 붉은 색이 아닌 핑크색입니다),
털
을 뽑을 수 없을 만큼 사후 경직이 심해 식당으로 팔릴 확률은 0입니다. 3) 생닭은 절대 먹으면 안 되겠죠? 사실 우리는 사자나 호랑이가 아니므로 평소 생닭을 먹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조류독감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
2016.11.14
1살인 키(Ki)라는 보노보가 6년 전인 35살 때
털
고르기를 하는 비디오가 남아 있었다. 당시
털
고르기 거리를 잰 결과 12cm로 6년이 지난 뒤의 17cm보다 5cm 더 가까웠다. 즉 6년 사이에 노안이 진행됐음을 보여주는 데이터다. 한편 이 데이터를 보노보의 최근접 초점 거리로 보고 분석해보면, 사람의 나이 ... ...
사람처럼 도구 이용해 벌레 잡는 하와이 까마귀
동아사이언스
l
2016.09.19
에토포시드까지 다양한 약물의 재료가 되기도 한다. 식물의 잎에 나 있는 미세한
털
인 ‘분비모’는 식물의 대사물질이 저장되는 곳으로, 천연 약물 공장과 같다. 최근에는 환경 정화 과정에 식물을 활용하려는 시도도 있다. 식물의 대사 작용을 활용해 오염된 토양에서 유해 성분을 분해하려는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