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눈높이' 딥러닝으로 AI 훈련 속도 단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 속도에서는 시간을 59%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
는 “현재 시점에서 헷갈리는 데이터를 주로 학습하는 데 초점을 맞춰 차별성을 둔 것”이라며 “이 기술이 텐서플로우나 파이토치 같은 기존 심층 학습 라이브러리에 추가되면 기계학습 및 심층학습 학계에 ... ...
빛으로 만든 고유키로 반도체 해킹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KIST) 광전소재연구단 주현수 선임연구원은 부산대 고분자공학과 안석균
교수
팀과 함께 빛을 이용해 PUF의 보안 성능을 강화하는 암호화 소자를 개발했다. 하드웨어 기반의 PUF 반도체 칩은 사람의 홍채나 지문처럼 고유의 키 값을 갖고 있다. 제조공정에서 만들어지는 미세구조의 편차가 키 값이기 ... ...
국내 연구진, AI 제어하는 세계 첫 전자현미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전자현미경을 전문가처럼 조작하는 데 인공지능을 활용한 최초의 사례다. 양현종
교수
는 “전자현미경으로 고화질 시료 이미지를 얻으려면 전문가가 다양한 변수를 조절해야 한다”며 “인공지능에게 제어를 맡기면 조작이 쉬워져 산업현장이나 교육현장에서 누구나 쉽게 전자현미경을 ...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시 배출되는 '삼중수소'…DNA손상 우려
연합뉴스
l
2020.10.20
방류 계획과 기간 등의 자료를 공유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
는 "우리 정부는 일본 정부에 오염수 방류에 관해 관심과 걱정을 표명하고, 일본에 자료 공개를 요구해야 한다"며 "일본의 오염수 방류 계획에 관해 문제가 있으면 어떤 문제가 있는지 솔직하게 논의하자고 ... ...
[코로나19 연구속보] 우리 몸속 고대 바이러스 흔적이 코로나19 퇴치법 알려줄까?
2020.10.20
그 결과 오늘날 다양한 면역 반응들이 생기고 있다는 것이다. 추옹
교수
는 “우리 게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바이러스들은 우리의 목숨뿐만 아니라 우리의 생명활동과 진화를 수천, 수만년 동안 형성해왔다”며 “과거 펜데믹(감염병 대유행 ... ...
플라스틱 젖병, 5500만개 미세플라스틱 나온다…한국선 하루 130만개 노출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다량 섭취한다는 잠재적 문제가 있는 만큼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볼란드
교수
는 “우리는 미세플라스틱이 유아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충분한 정보가 없을 때 부모에게 지나친 경각심을 주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면서도 “유아용 플라스틱 젖병을 쓸 때 분유 준비에 대한 ... ...
태양은 외롭게 태어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만들어졌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생명 연구에도 새로운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교수
는 “유기분자는 원시 태양계의 분자구름 상태에서 생성됐는데 자외선의 강도에 따라 화학반응이 달라지면서 유기분자 성분이 달라졌다”라며 “태양계 형성 과정에서 자외선의 영향을 받은 물질을 연구하면 ... ...
작년 노벨상 수상자 논문 조작설에 과학계 떠들썩…한국인 연구자 포함 '파장'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언급된 논문부정 감시 정보공유 사이트 ‘펍피어’ 에 제기된 의혹에 대해서도 김정환
교수
는 해당 논문에 포함된 웨스턴블롯 데이터 중 1개의 좌우가 바뀌어있는 것은 아닌지를 지적하는 내용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반박했습니다. ... ...
할미꽃 개화 기간 점점 짧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식생을 형성해 산림생태계의 생물 다양성을 풍부하게 만든다. 서울대 사범대학 김재근
교수
연구팀은 온도 상승과 봄철 강우량 감소가 온대림 지역 초본식물의 개화 시작 시기와 종료 시기를 앞당긴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5일 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 ... ...
세계 최대 규모 실험으로 은하 형성과 진화 이론 가장 사실적으로 재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38만년일 때 빛과 물질이 분리되며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박창범 고등과학원
교수
는 “HR5는 국내 연구진이 주도한 세계 최대 규모의 우주론적 유체역학 시뮬레이션으로 우주 거대구조와 은하의 생성 및 진화를 동시에 정밀하게 기술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라며 “우주론과 은하 및 은하단의 ... ...
이전
1097
1098
1099
1100
1101
1102
1103
1104
1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