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함께 사는 지구, 그런데 왜 부자만 건강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의료 취약층도 예외가 없어서, 김창엽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등이 올해 ‘노화
연구
’지에 낸 논문을 보면, 학력이 낮은 우리나라 저소득층 노인들은 의료 서비스를 잘 이용하지 않았다.우리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은 소득에서 중요한 것이 절대액만은 아니기 때문이다. 불공평한 분배가 가져온 ... ...
과학으로 갈 데까지 크리스마스 파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달리기 선수들이 아시아나 유럽 출신 선수들에 비해 높은 무게 중심(배꼽)을 갖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다리가 길다는 뜻이다. 부족한 다리 길이는 높은 구두로 보완해 보자. 머리 길이가 21cm인데 키가 161cm밖에 안된다면 뒷굽길이가 7cm인 하이힐을 신는 것. 높은 구두를 신고 얼마나 ... ...
글로벌 녹색성장 우리나라가 주도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주도하게 된다는 뜻이다.마지막으로 이 교수는 “녹색성장의 미래를 위해서는
연구
개발과 인재양성 둘 다 중요한데 특히 인재양성은 장기적으로 내다보고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라며 GCF 유치의 의미가 퇴색되면 안 될 것임을 당부했다 ... ...
Part 1. 응답하라 백두여우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알려진 게 없습니다. 아마도 내가 야생에 나가서 하는 행동 하나하나가 우리 여우를
연구
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되겠지요. 내 목에 달린 위치추적 발신기가 행동 영역, 굴을 만드는 위치 등을 알려줄 겁니다.올해 말 자연적응 및 훈련장에는 중국이나 러시아에서 새로운 친구들이 옵니다. 벌써 1 ... ...
Part 1. 조미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들어 있는 우리나라 음식이 문제다.오히려 MSG가 소듐 섭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도 있다. 사람마다 간이 다르다는 건 사람마다 만족하는 소금 농도가 있다는 뜻이다. 이때 소금의 양을 줄이고 그 대신 MSG를 넣으면 통계적으로 더 낮은 소듐 농도에서 같은 맛을 느낄 수 있다. MSG로 대체하는 ... ...
Intro. 노벨상, 미시 세계를 탐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초석을 닦았다. 센서 분자 ‘구아닌 수용체’는 몸 속에 있는 수많은 비슷한 수용체
연구
와 질병 치료제 개발의 물꼬를 텄으며, 역분화 줄기세포는 줄기세포 치료의 길을 닦았다. 미시 세계를 통해 거대한 세계의 문을 열어젖힌 올해의 노벨 과학상을 국내 전문가와 함께 살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 ...
물리학상 - 양자컴퓨터 성큼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분자를 통한 양자 현상 실험은 할 수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원자광학 분야
연구
가 발달하면서 개별 양자계를 직접 관측할 수 있는 양자물리학의 새로운 실험분야가 열렸다. 슈뢰딩거는 미시 양자 세계에서 물리 현상이 보이는 주요한 원리인 양자중첩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슈뢰딩거의 ... ...
2012 이그노벨상 - 수다쟁이 입을 막으려면?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물리학’에서 소개한 ‘커피를 들고 이동하는 도중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연구
’는 유체역학상을 수상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상, 미시 세계를 탐하다물리학상 - 양자컴퓨터 성큼 다가오다화학상 - 응급실에서 들은 ‘세포의 대화’생리의학상 - 체세포의 시계는 거꾸로 ... ...
GMO 안전성에 빨간 불?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못 미쳤다”고 말했다. 세랄리니 박사는 이번 논란이 논의의 시작이라고 보고 있다. 그는
연구
자료를 공개하라는 주장에 “유럽에서 NK603의 인허가를 가능하게 한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는 한 나도 자료를 공개하지 않겠다”고 맞서고 있다. 결국 어떤 식으로든 안전성과 건강 문제가 더욱 이슈가 될 ... ...
화성 표면에 하와이 암석이?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대상으로 삼은 암석은 ‘제이크 마티예비치’. 8월에 세상을 뜬 미국 제트추진
연구
소(JPL)
연구
원 제이콥 마티예비치의 이름을 딴 이 암석은 축구공만한 크기에 독특한 피라미드 모양을 하고 있어 과학자들의 궁금증을 자아냈다. 큐리오시티는 지난달 23일 이 암석을 이틀간 분석했다. ... ...
이전
1099
1100
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