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직막대에서 전자주사 안테나로 진화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와 자계(자기력선)의 상호작용에 의해 전해지는 파동이 발생되는 것을 예측했다. 그것이
바로
전파였다.1884년 영국의 J. 포인팅은 전파에너지의 흐름을 제시하는 정리를 발표해 맥스웰의 이론을 뒷받침했다.같은 해 독일의 H. 헤르츠는 불꽃방전을 이용해 고주파의 전기진동을 측정하는 루프형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자동적으로 현저히 높아져서 전몰희생으로 생긴 성비의 불균형이 교정되는 현상 등이
바로
자연의 내재율을 보여주는 산 증거다. 분자생물학에 기반을 둔 유전공학기술은 이러한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며 개척돼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테면 태아의 성감별이 자연의 섭리를 깨는 자료로 활용된다면 ... ...
생명체의 분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수 조(兆) 혹은 수백 조의 진핵세포로 구성된 유기체로 발전되어 왔다.(우리 인간이
바로
그 예다). 그러나 모두가 그렇지는 않다. 유카리아의 여섯 유형 중 셋은 철저하게 단세포들이다.나머지 셋 중에서 둘은 식물성이다. 하나는 클로로필이 없는 "진균류"다. 대부분은 단세포이지만 버섯같은 ... ...
가장 새로운 물리학─수리끈이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우주의 나이는 ${10}^{-44}$초에 불과했다. 그 지름이 ${10}^{-33}$㎝인 소우주였는데 이때가
바로
수리끈이론이 적용되는 세계다.이때의 우주는 10차원이었다고 수리끈이론학자들은 말한다. 이 가운데 6차원은 ${10}^{-33}$㎝이내로 제한돼 있었고 나머지 4차원 시공간은 계속 팽창, 현재의 우주를 형성했다는 ... ...
PARTⅢ 분자생물학의 기본언어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유전자중 비암호화부위는 전사한 뒤 제거되기 때문에 mRNA에는 이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바로
이런 원리를 이용해 비암호화부위를 제거한다. 즉 역전사효소를 활용, mRNA로부터 상보성DNA(cDNA)를 합성한 다음 클로닝하면 된다.또 사람의 세포와 대장균의 세포는 RNA의 합성원리가 서로 다르다는 점도 ... ...
제2회 보람과학퀴즈대회 열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과학행사가 열린다. 12월23일 서울 보라매 공원에서 열리는 '제2회 보람과학퀴즈대회'가
바로
그것.작년에 이어 두번째로 치러지는 이 대회는 출제부터 문제풀이까지의 전과정이 기존의 과학경시대회와는 사뭇 다르다. 첫번째 특징은 출제위원들이 학생이라는 점.비록 출제과정에서 교사의 조언과 ... ...
바다에 음파쏘아 지구 온난화 측정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지구기후의 온난화를 가져 오는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했다. 음파를 이용한 측정은
바로
이런 논란에 해답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게다가 기후학자들은 바닷물과 대기는 기후변동시에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사실을 제시해 이번 실험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이 실험의 ... ...
동물한테 배우는 비만치료법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해로울 수 있다. 순환계의 구조상 방출된 지방산(酸)은 몸 전체의 근육으로 퍼지기 전에
바로
간(肝)으로 간다. 이때 너무 많은 지방산이 간으로 유입되면 간은 인슐린의 분비에 영향을 미쳐 혈액중의 포도당 농도가 올라간다. 그 결과 심할 경우에는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 ...
잉카문명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않았으나 일말의 흐트러짐이 없었다. 어찌나 정교하고 튼튼했던지 스페인 정복자들이
바로
그 건물위에 새 건물을 지을 정도였다.잉카의 대표적인 석조건물은 쿠스코의 코리칸차(Coricancha)다. 일명 황금의 울타리 또는 태양의 신전이라 일컬어지는 건물이다. 그리고 쿠스코시에서 기차로 약 4시간을 ... ...
PARTⅡ 실생활에 어떻게 사용되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쏟고 있다.장기적인 안목으로 보았을 때 유전공학이 가장 각광을 받을 수 있는 분야가
바로
농작물의 육종이다. 현재 이 분야는 대학의 기초연구기관 뿐만 아니라 미국의 몬산토(Monsanto)사, 영국의 어그리컬처럴 제네틱스(Agricultural Genetics)사 등 유수의 해외기업들이 큰 관심을 가지고 연구개발하고 ... ...
이전
1100
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
1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