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뉴스
"
결과
"(으)로 총 26,322건 검색되었습니다.
핵융합 1억도 유지 가로막는 플라스마 붕괴조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4
붕괴하는 현상을 억제하는 데 이번 연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월 14일자에 실렸다 ... ...
알츠하이머 유발 타우 단백질, 독성 생기는 경로 찾았다
연합뉴스
l
2021.02.24
몇 안 되는 RNA 결합 단백질 중 하나다. 월로진 교수와 동료 과학자들은 이번 연구
결과
가 타우 올리고머 억제 화합물을 발굴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거로 믿는다. ... ...
[기고] 한국 대학의 역할이 창업기지인가
2021.02.24
창업생태계와 벤처캐피털에도 높은 수준의 인재와 창업의 토대가 될 기초·응용연구의
결과
물인 새로운 지식재산을 공급해야 한다. 대학에 창업을 주문하는 것은 우물가에서 숭늉을 찾는 격이다. ... ...
보조 로봇 입고 AI가 인간 감정 치유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3
보고서는 양 기관이 연구 협업을 이루며 국가 R&D 기획 및 전략 수립 시너지를 이룬
결과
물”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ICT 분야에서 정부출연연구기관 간 협력을 이룰 수 있는 연구 환경 조성이 확대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KISTEP 홈페이지(https://www.kistep.re.kr/c3/sub2_2.jsp?brdType=R&bbIdx=14356 ... ...
정 총리 “고령층도 접종” 보건당국 “결정 안했다”…백신접종 사흘 앞두고 당국 엇박자
동아사이언스
l
2021.02.23
“65세 이상 고령층 접종 백신의 종류에 대해서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임상시험
결과
를 포함해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경우 세계보건기구(WHO)의 접종 권고 기준에 따라 1차와 2차 접종 간격은 8~12주, 화이자 백신은 3주(21일)다. 한편 화이자 ... ...
"화이자 백신 예방효과 충분, 16∼17세 투여도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21.02.23
미국에서 접종이 진행 중인 화이자-바이오엔테크 코로나19 백신. AFP/연합뉴스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 안전성∙효과성 검증 ... 심사와 검증자문단 회의
결과
를 종합해, 25일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자문을 받고 26일 그
결과
를 공개한다. ... ...
영국 변이와 미국 변이 결합 '심상치 않다'…전문가들 "새 코로나 바이러스 등장"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1.02.23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감염이 급증한 B1429 변이바이러스의 융합체로 분석됐다. 이번 연구
결과
는 아직 학술지나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에 게재되지는 않았다. 이론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같은 RNA 계열 바이러스는 숙주세포에서 복제·증식되는 과정에서 유전자가 섞이고 결합하는 재조합이 ... ...
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 백신 접종 '효과 입증'…英 최초 실제 효과 분석
결과
나와
2021.02.23
사전 공개 사이트인 SSRN에 화이자 백신 접종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
결과
를 내놨다. 분석
결과
화이자 백신을 1회 접종하고 3주가 지났을 때 72%의 예방 효과가 나타났고 2회 접종 후 일주일이 지났을 때는 예방 효과가 85%로 증가했다. 연구팀은 영국 변이 바이러스 B.1.1.7에도 비슷한 효과가 나타났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 리사이클링, 혁신은 가능할까
2021.02.23
뿐 아니라 같은 유형이라도 제품에 따라 안료나 유연제 등 다양한 첨가물이 들어있다. 그
결과
재활용되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제품은 ‘신선한’ 플라스틱으로 만든 제품에 비해 물성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그나마 페트(PET)의 재활용 비율이 높고 그 밖에 폴리에틸렌(PE) 등이 일부를 차지하고 있다. ... ...
500번 충·방전해도 높은 에너지 밀도 유지하는 양극 소재 합성법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3
원자 분포를 찾았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든 양극 소재의 에너지 밀도를 측정한
결과
1100Wh/kg였다. 이는 현재 상용화된 양극 소재의 에너지 밀도인 600Wh/kg의 1.8배고 값비싼 코발트를 쓰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었다. 충·방전이 반복돼 리튬이 빠져나가도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 ... ...
이전
1104
1105
1106
1107
1108
1109
1110
1111
1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