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d라이브러리
"
천문학
"(으)로 총 1,325건 검색되었습니다.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05
쉬운 것은 아니다).이제 천체의 시운동을 총정리하는 의미에서 다음과 같은 예문에서
천문학
적으로 틀린 곳 다섯군데를 모두 찾아내 보자.…자정이 막 지난 초여름밤, 창백한 초승달 바로 옆에는 금성이 찬란히 빛나고 있었다. 오리온 자리에 빛나는 저 밝고 붉은 별은목성이리라….첫째 초승달이 ... ...
우주 암물질의 비밀규명 박차
과학동아
l
199205
소행성 또 작은 블랙홀이라면 추정이 아닌 설명이 가능해야한다. 바야흐로 미국의
천문학
자들이 이 암물질 규명에 도전하고 있다.연구자들이 붙잡고 있는 단서는 하나. 이 암물질들이 탐사위성이 추적하고 있는 우주공간의 감마선을 굴절시킨다는 것이다. 작년에 NASA(미항공우주국)의 컴프텀 감마선 ... ...
보름달이 초저녁 동쪽하늘에 뜨는 이유
과학동아
l
199204
corona)를 관측할 수 있다. 개기일식이 예고된 지방에는 세계 각지에서
천문학
자 아마추어
천문학
자 관광객들이 모여 들어 이 희귀한 현상을 연구하거나 영원히 간직하기 위해 관측장비와 촬영장비를 갖추고 기다린다. (사진2)는 개기일식 장면이다.달은 지구의 자전 방향(서→동)과 같은 방향으로 약 2 ... ...
별은 왜 비스듬히 뜨고 지는가
과학동아
l
199203
(그림7)과 같이 이동한다. '북극에서 떠오르는 별' '북극으로 지는 태양'과 같은 표현은
천문학
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이다.남극 지방의 관측자에 대해서도 천체들이 뜨거나 지지 않는다는 사실은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별들은 이 경우 천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림8)에는 ... ...
렌즈지름 10m벽 돌파하는 세계 최대 망원경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203
40여년 동안 지름 5m대에 머물렀던 광학망원경은 이제 막 10m의 기록을 돌파하려 하고 있다.인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시간과 기후 및 위치의 ... 10m망원경이 준비중이다. 이때는 첫번째의 것을 개량한 것이 될 것이므로 1호기와 더불어
천문학
을 비약시키는 주인공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
별자리, 왜 계절에 따라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02
사실을 다시 한 번 머리속에 새겨야 한다.지평선과 천정천구를 이해하려면 우선 몇가지
천문학
용어를 반드시 익혀야 한다. 먼저 지평선과 천정에 관해 알아보자. 천구가 땅과 만난 선을 우리는 지평선이라고 부른다. 물론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말하는 지평선과 똑같은 것이다. 천구상에서 관측자의 ... ...
만약 은하와 은하가 맞부딪친다면…
과학동아
l
199202
껍질모양의 구조를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1990년대에 들어 미국 프린스턴대학의
천문학
자 바네스 헌퀴스트 시바이저 등은 그들이 만든 새로운 모델을 활용, 상호작용을 하는 두 은하들은 결국 서로 융합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아울러 이들은 편평한 은하들이 상호충돌을 ... ...
미국 과학자 대다수 SSC에 반대
과학동아
l
199202
정부고관을 포함한 일반인들은 오감으로 감지되는 것만 과학으로 인정한다. 전파
천문학
입자물리학 등은 과학이 아니라 정확히 말해 '사색적 과학'이라 불려져야 한다는 것이다.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펜지아스벨연구소부소장은 대형가속기를 비판한 논문 중에서 "입자물리학은 이제 인간의 ... ...
타이탄의 대기
과학동아
l
199202
타이탄이 더 따뜻했었는지는 모를 일이다. 그러나 아직은 미지수이기 때문에 이 문제는
천문학
자들이 해명해야할 과제로 남아있다.한편 레이더로 밝혀진 최근의 연구자료는 타이탄이 공전함에 따라 반사되는 빛이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 현상에 대한 가장 좋은 설명은 타이탄의 일부는 ... ...
(5) 신경망컴퓨터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9201
사고의 전환을 강요하는 도전이었다. 코페르니쿠스의 학설이 물리학과
천문학
, 이후 우리 사고에 미친 영향을 감안한다면 신경망컴퓨터를 여기에 비유한다는 것은 어쩌면 불경스런 발상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불경스런 과장을 고집하고 싶은 것은 지금까지 컴퓨터 연구에서 철저하게 무시되고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