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DGIST@융복합 파트너]리튬이온배터리 전성시대 그 이후를 꿈꿉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등은 이제 막 연구가 시작됐다.지난해 9월 홍 교수팀은 칼슘이온배터리용 양극재를
개발
해 국제학술지 ‘케미스트리 오브 머티리얼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나시콘(NASICON)’ 구조 기반의 양극재를 찾아내고, 분말 X선 회절 기법으로 이 소재의 구조적 안정성을 평가했다. doi: 10.1021/acs.chemmater.0c01 ... ...
[특집]새로운 과일, 어떻게 만들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비교해야 하며, 앞으로의 사회적인 변화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해요. 이처럼 사과 신품종
개발
에는 고려해야 할 것이 너무나 많지요. 그래서 탈모가 심한가 봅니다^^.그럼에도 사과 육종은 사회 변화로 인한 농부의 충격을 줄이고,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일이니 어린이 독자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
‘뉴락’ 장한나 작가 “플라스틱 시대를 작품으로 기록합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상아를 대체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며 “처음에는 자연을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개발
된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과도한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과 무분별한 처리다. 장 작가는 ‘인간 욕망의 산물’이라고 표현했다. 최근에는 뉴락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 ...
[이공계 잡터뷰] 의료기기도 데이터 시대, 데이터 과학자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정확도를 높이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영상이 아닌 수치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미리
개발
자에게 조언해야 한다. 또 기존에는 해석하지 못했던 수많은 데이터가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과 함께 귀중한 정보로 재탄생될 수 있다. 이런 기술 발전을 데이터과학자들이 주도할 수 있다. 다양한 분야,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2025년 태양전지 세대 교체 일어날 겁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광전환 효율은 15%였지만 지금은 첫 목표를 훌쩍 넘어 25% 이상의 효율을 내는 태양전지를
개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4월 김 센터장팀은 광전환 효율 25.2%(0.1cm2 면적)를 공식 인증 받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하기도 했다(142쪽 그림 참고). 이론상 ... ...
[특집] 비건 패션, 트렌드가 되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촘촘히 인쇄된 털은 마치 고급 모피처럼 부드러운 촉감을 가졌다. 하지만 다양하게
개발
된 신소재가 상용화돼 실제 제품으로 소비자와 만나려면 단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비건 패션 브랜드 비건타이거의 양윤아 대표는 “식물성 가죽 등 대부분의 비건 소재는 아직 단가가 비싸 천연가죽과 ... ...
약자 피해 우려에 지구공학 실험 멈췄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실제로 이런 부작용이 일어난다면 피해는 고스란히 아시아와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등
개발
도상국이 입는다. 민 교수는 “몬순 기후대에 속하는 국가 대부분은 기후변화의 원인인 온실가스를 거의 배출해오지 않았다”며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실험의 피해를 오히려 이들 국가에서 받는다는 ... ...
[한페이지 뉴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정보엔진 나왔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바뀐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이 정보엔진이다. 실제 정보엔진은 1990년대 후반 처음
개발
됐다.사이먼프레이저대 연구팀은 레이저에 가둔 입자의 무게에 따라 스프링의 위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또다른 레이저로 확인했다. doi: 10.1073/pnas.2023356118 입자의 무게 때문에 스프링이 내려가면 이 위치를 ... ...
[한페이지 뉴스] 척추동물 16종 완전한 표준유전체 공개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고등 척추동물의 유전체는 반복서열의 비율이 30~60% 정도로 높아 정확도가 떨어졌다.기술
개발
을 주도한 논문의 제1저자 이아랑 미국 국립보건원(NIH) 국립인간유전체연구소(NHGRI) 연구원은 “이번에 조립한 16종의 유전체 가운데 가장 큰 것은 전체 길이가 50억 염기쌍에 이른다”며 “다양한 종들의 ... ...
“과학과 지식 공유 막아선 안 돼”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논문을 가장 많이 다운 받은 국가에는 미국(5위)도 포함돼 있었다. 논문 접근이 쉽지 않은
개발
도상국이 다수일 것이라는 예상과는 다른 결과였다. 엘바키얀도 이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 그는 “사이허브의 사용이 보편화되며 목표 대상이었던 논문 접근이 어려운 연구자 말고도 다양한 사람이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