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보트 재권V] 로봇, 1시간 움직이게 해보자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사람과 대화하게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To be Continued. 글. 한재권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비롯해서 인간과 로봇간의 상호작용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jkhan@hanyang.ac ... ...
- 주목하라, 시스템반도체 시대가 온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진격의 거인, 아니 진격의 반도체다. 10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시스템 반도체 산업을 2030년 세계 1위 수준(파운드리 분야 세계 1위, 팹리스 ... 시대가 온다Part 1. 3가지 키워드로 본 시스템반도체 Part 2.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에 가다 Part 3. 시스템반도체 전문가가 되고 싶다면 ... ...
- 내일 놀러 가도 될까? 대기오염 예측을 부탁해~!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수도권대기오염집중측정소, 김상일(부산대학교 수학과 교수), 송창근(UNIST 도시환경공학부 교수) 참고자료국립환경과학원 ‘2015 국가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대기오염 측정망 설치, 운영지침 2018’, 송창근 외 ‘Impacts oflocal vs. trans-boundary emissions from differen ...
- 엄마가 더 세다?! 상어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 이우준(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 어류학실험실 연구원), 최윤(군산대학교 해양생물공학과 교수), Ian Campbell(Project AWARE Associate Director), 스마트스터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엄마가 더 세다?! 상어가족 Part1. 상어가족, 지구반대편에서도 인기 만점! Part2. 상어가족, 가사부터 ...
- 고려대-SK하이닉스, 연세대-삼성전자 반도체 인력의 세대 교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2021학년부터 SK하이닉스와 반도체 계약학과를 운영하기로 했다. 이인규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장은 현장 연구에 곧바로 뛰어들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현직 시스템반도체 전문가가 대학으로 와 직접 강의를 하거나, 학생들이 4학년 때 현장으로 실습을 가는 수업도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탄력적인 그대 이름은 스트레처블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우리 삶을 얼마나 변화시킬지 기대가 됩니다. 글. 안현석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웨어러블융합전자연구실 박사후연구원이다. 전기방사 공정을 이용한 신축성 투명전극 개발을 통해 웨어러블, 스트레처블 전자기기를 개발하고 있다.Byeongwan@wearablelab ... ...
- 대한수학회 회장 금종해 교수 인터뷰 "수학 실력은 국가 경쟁력!"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수와 공간의 성질을 연구하기 때문에 대중에게 보여줄 자료가 많지 않아요. 반면 과학과 공학은 자연현상이나 사물을 연구하기 때문에 보여줄 게 많지요. 이렇다보니 다른 분야보다 정부에서 지원하는 예산이 적어요. 대학교에서도 수학과 교수는 연구비를 적게 받고 연구를 홍보하기 어렵다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보드게임의 필승 전략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이론을 ‘게임 이론’이라고 해요. 게임 이론은 경제학과 더불어 생물학, 정치학, 컴퓨터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죠. 보드게임은 물론이고요! 가장 긴 길을 만드는 사람이 승리!인기 유튜브 크리에이터 도티와 잠뜰이 소개하는 키코블록 보드게임은 2명부터 4명의 친구가 함께할 수 있어요. ... ...
- 신을 쫓는 기계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얼굴들지난 25년간 LHC를 건설하고, 우주의 신비를 연구하기 위해 수만 명의 과학자와 공학자들이 거쳐 갔다. 그리고 지금도 그곳에서 수천 명의 사람들이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이 사진은 현재 LHC에서 연구하고 있는 과학자 800명의 사진을 콜라주한 작품으로 여성은 흰색, 남성은 검은색 배경으로 ... ...
- [수학 THE LOVE] 수학과 물리는 한 몸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대한 식을 풀 때, 증명 과정에 비약이 있는 것 아니냐”고 질문하자 방세훈 씨(환경공학과 2학년)가 “조건을 만족하면 결과가 로그로 나오면서 식이 성립된다”고 받아쳤다. 그 순간만큼은 EOE 세미나는 작은 동아리 세미나가 아니라 하나의 학술대회였다. ‘토론이 습관’인 EOE의 분위기는 취재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