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능"(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미세먼지가 암 유발’ 숫자로 증명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암을 유발하는 원인에 대해 공동저자인 홍콩대 탁 툰궉 연구원은 “미세먼지는 DNA 복구 기능을 손상시키고 면역 반응을 망가뜨리며, 그 결과, 새로운 혈관의 성장이 촉진돼 종양이 쉽게 퍼지게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장기간 미세먼지에 노출되는 것이 심폐기관 암 발병의 주요 원인”이라고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organoid)’로 돌파구를 찾았다.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를 이용해 만든, 조직과 비슷한 기능을 할 수 있는 3차원 세포 집합체다. 체외에서도 체내와 비슷한 환경을 만들 수 있게 도와준다.미국 존스홉킨스대 연구팀은 지카바이러스가 오가노이드로 만든 미니 뇌의 발생을 방해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기능을 온전하게 구현한 사례는 없다”며 “줄기세포를 이용해서 만든 간세포가 기능이 떨어지는데, 현재 그 이유를 찾는 중”이라고 말했다.안전성평가연구소 예측모델연구센터 연구팀은 인간 일차간세포보다 줄기세포로 만든 간세포에서 약물 대사에서 중요한 효소 발현이 적은 이유를 밝혀 ... ...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할 변수가 너무 많아 초보라면 혼란스러울 지경이다. 이럴 때 필요한 건 ‘자동(Auto)’ 기능이다. 자동 모드에 놓으면 카메라가 외부 상황에 맞춰 적당한 값을 알아서 설정해준다. 계산과학·공학 분야에도 초보들이 쉽게 쓸 수 있는 친절한 소프트웨어가 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201 ...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관리할 수 있다. 이 앱은 앱에 기록되는 운동 상태를 트위터를 통해 자동으로 공유하는 기능이 있다.분석 결과, 트위터 같은 공개적인 장소에 운동을 하고 있다고 언급하면 운동 앱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확률이 높아졌다. 즉, 남들에게 내가 운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리는 게 운동을 꾸준히 할 수 ... ...
- [과학뉴스] ‘제2의 피부’로 눈가 주름 걱정 끝?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열을 투과시키며 아래쪽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했다. 특히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하는 기능이 뛰어나 막을 바르지 않았을 때보다 피부의 수분이 23%가량 상승하는 효과를 보였다. 노화로 생긴 눈 밑 지방을 24시간 동안 40%나 적게 보이게끔 하기도 했다. 연구진은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주름을 숨길 ... ...
- [News & Issue] 가습기 살균제 사태, 노출계수를 따져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조언했다.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한 사람 중 나이에 비해 혈관 건강이 특히 나쁘거나 신장 기능이 좋지 않은 사람이 있다면 살균제 피해일 가능성을 열어두고 인과관계를 찾는 식이다.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은 크게 의약품, 농업용, 산업용으로 구분된다. 의약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 ...
-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스파이앱의 권한을 보세요. SMS, 마이크, 위치, 저장공간, 전화, 주소록, 카메라 등 7가지 기능에 다 접근할 수 있다는 거예요.” 김선태 학생은 자신의 스마트폰을 보여주며 말했다. 이 7개의 접근 권한을 이용하면 생각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해커에게 전달할 수 있다. 만약 누군가 당신의 스마트폰에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받은 제품은 없으며(아프리카 일부에서 제한적 사용), 시판되더라도 적혈구의 산소 운반 기능만을 대체할 뿐 혈액응고인자와 혈소판이 하는 지혈작용은 할 수 없다. 인공혈액은 1200mL 이하의 출혈이 있을 때 응급 치료에만 이용될 전망이다.전자 의수근육에 흐르는 전기 신호(표면 근전도)로 사용자의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증명되고 있죠.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사라-제인 블레이크모어 교수는 1998년에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통해 남이 간질일 때와 스스로 간질일 때의 뇌 반응을 비교해봤습니다. 여기서 분명한 차이를 보인 곳은 소뇌(cerebellum)였습니다. 소뇌는 어떤 감각의 결과를 예측하는 역할을 하는데,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