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높이"(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외취재] 피터팬 VS 후크 선장, 수학 예술로 네버랜드를 바꿔라!수학동아 l2013년 10호
- 그림을 잘 살펴봐. 각 변과 연결된 벽면의 넓이가 달라. 하지만 계단 때문에 벽면의 높이가 계속해서 달라지면서, 각 벽면의 넓이가 같은 비율인 것처럼 느껴지지. 그래서 계속 올라가면서도 제자리로 돌아오는 영원히 반복되는 공간이 만들어지는 거야.저런 곳이라면 후크 선장을 놀리고 도망쳐도 ... ...
- 인류탄생 - 난쟁이 인류, ‘호빗’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있습니다. 월리스선 북쪽이 바다가 얕은 지역인데, 빙하기가 반복되던 시기에는 바다의 높이가 지금보다 낮았기 때문에 이 지역은 아시아 대륙과 연결돼 있었습니다. 동물은 물론 인류도 걸어서 갈 수 있었습니다.하지만 플로레스 섬은 월리스선 남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지역은 가장 혹독한 ... ...
- 미스터리 수학! 펜로즈 계단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10호
- $z$축이 압축돼 사라지면서 원점 O와 점 P 모두 (0, 0)이 된다. 즉 한 점이 된다.3차원 입체는 높이와 폭, 그리고 깊이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보는 위치에 따라서 깊이 정보가 일시적으로 소실되기도 한다. 즉 $z$축이 소실되는 위치에 끊어진 부분이 위치하면 마치 연결된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 ...
- PART 3 진격의 심장, 디젤엔진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압축비를 높이면 효율을 올릴 수 있지 않을까? 아쉽게도 가솔린엔진은 압축비를 과하게 높이면 ‘노킹’이라는 이상 연소 현상이 생긴다. 효율이 떨어지고 엔진이 파손될 수 있다. 엔진이 커질수록 노킹 현상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가솔린엔진은 크게 만들 수 없다. 중장비는 땅을 파거나 암석을 ... ...
- PART 1 중장비, 도시를 지탱하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30m 높이의 파도도 견딜 수 있다.시추 작업은 쇠파이프와 진흙과의 긴 싸움 시추선 위에는 높이가 약 50m인 격자모양 시추탑이 세워져 있다. 그 안에 심장에 해당하는 시추 드릴 파이프가 있다. 긴 쇠파이프의 위쪽 끝에는 회전장치가 연결돼 있다. 아래쪽에 ‘드릴 비트’가 달린 쇠파이프 전체가 ... ...
- “이젠 이사할 때 과학동아부터 챙깁니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과학동아가 우리나라 잡지인 만큼 국내 과학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해 온 점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독일여행 중에 운 좋게 100년 전 과학잡지를 살 수 있었다”면서 “과학동아도 세월이 오래 지나면 우리나라의 과학상을 보여주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꼼꼼한 성격이지만 매달 ... ...
- PART 2 중장비 끝판왕 TOP 5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가장 큰 차로 기네스북에 오른 독일 타크라프사의 ‘배거 293’. 석탄 광산용 굴착기다. 높이 96m, 가로 길이 225m고 자체 무게 1만 4200t으로 웬만한 건물만하다.광산 벽을 부수고 있는 거대한 휠은 지름이 21.3m로, 둘레에 삽 20개가 달려 있다. 각 삽은 한 번에 15m3 부피의 석탄을 퍼낼 수 있다.하루 동안 ... ...
- 야구 기록, 그림만 보면 다 안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다양한 변수를 사람의 얼굴 모양으로 나타낸 것이다. 즉 얼굴의 윤곽, 입 모양, 귀 높이 등 얼굴의 구성 요소를 각각의 변수에 대입해 표현한 것이다. 변수는 최대 15개까지 나타낼 수 있는데 데이터 값이 크면 큰 머리 모양이나, 큰 눈을 갖는다. 반대로 데이터 값이 작으면 작은 이목구비로 표현된다 ...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입체 도형을 만들 듯, 2차원 자료를 한데 모아 뇌 입체 영상을 만들었다. 가로, 세로, 높이 각각 20μm까지 구분할 수 있는 뇌 지도였다. 이렇게 스캔부터 보정 작업까지 만 4년의 시간이 흘렀다. 데이터는 모두 1테라바이트(TB)에 육박했다.‘빅브레인(거대한 뇌)’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3차원 영상 ... ...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고래가 눈으로 거의 보지 못한다고 생각했다. 예를들어, 귀신고래의 몸길이는 건물 5층 높이인데 눈은 당구공만큼 작아서 눈이 퇴화되는 증거라고 말하는 과학자도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사람의 눈보다 훨씬 크고 최근의 연구 결과도 고래가 시력이 좋다는 사실을 뒷받침 한다.동물원 고래가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