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처
인근
이웃
주변
근방
인접물
인접지
d라이브러리
"
부근
"(으)로 총 1,26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Ⅱ 태양의 8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태양표면에서 일어나는 자기플라즈마의 급격한 폭발현상이다. 주로 집단을 이룬 흑점
부근
에서 일어나는데 갑자기 밝아지기 시작해서 수분 후에 최고의 밝기에 도달한 다음 차츰 밝기가 떨어져서 한시간 정도 지나면 원래상태로 되돌아간다.그 사이에 플레어는 수십억의 핵폭발 보다 많은 에너지를 ... ...
PARTⅠ지구에 어떤 영향을 주나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전자가 태양풍을 따라 대기권에 도착하면 지구자장에 의해 일단 굴절된 후 극지방
부근
의 대기권 상층부에 침투한다. 그러면 이 전자가 산소원자를 때려 산소원자로 하여금 붉은 빛과 푸른 빛을 내게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현란한 빛을 내는 현상이 바로 오로라"라고 서울대 윤홍식교수(천문학과 ... ...
기이한 거인상과 암벽화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경계에는 수호신의 상징을 뚜렷하게 새겼다. 백마나 그밖의 거대한 그림이 있는
부근
에는 대개 당시의 성채로 보이는 흙이나 돌을 쌓아 올린 흔적이 있는 것은 근거지의 성채와 그 주변에 새겨진 거대한 그림의 의미가 어떤 것인지를 설명하여 준다.백마 외에 또 하나 유명한 것이 거인상이다. ... ...
지구에 이상접근한 소행성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昇交点·ascending node·행성이 기준면을 남쪽에서 북쪽으로 가로끊어 황도를 통과하는 점)
부근
에서 다시 지구에 접근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C. 채프맨’박사에 의하면 이 소행성은 인공천체가 랑데부할 상대로서도 대단히 흥미가 있다고 한다. 광도로 추측한 직경은 탄소질 콘드라이트 ... ...
해류, 기상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때 많은 열을 빼앗아 공기가 가벼워지면서 상승기류를 만들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부근
에서도 겨울철 북서 계절풍에 의해 운반돼 온 공기가 바다로부터 많은 열을 빼앗는데, 이 때 이 공기는 쿠로시오해류(일본 동측을 통과)에 이르기 전 서해나 동해를 거치는 동안 기온과 습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 ...
올여름 날씨 냉해 등 위험 예상돼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일어나는 엘니뇨현상과 중위도 태평양지역의 '라니냐'현상이 주목받고 있다. 적도
부근
의 따뜻한 바닷물(엘니뇨, 스페인어로 '소년'의 뜻)과 중위도지방의 차거운 바닷물(라리냐, '소녀')이 생성시킨 거대한 구름덩어리(열원)가 움직이면서 편서풍의 진행을 교란시켰다고 보는 것.결국 가장 최근에 ... ...
남태평양의 진주 폴리네시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가장 남쪽에 남회귀선에 걸터 앉듯한 모양으로 있는 것이 투부아이제도다. 이
부근
에는 찬 남풍 '마라참'이 불고 있다. 투부아이섬을 중심으로 리마타라 루루투 라이바바에 그리고 약간 떨어져 있는 라파의 5개 화산도(휴화산)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느 섬이나 환초에 에워싸여 있다. 투부아이섬은 176 ... ...
속도의 한계는?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그러나 불행하게도 광속 이상으로 통과하는 타키온은 어떤 특수한 곳, 예컨대 검출장치
부근
에 1초의 수억분의 1도 못되는 믿을 수 없을만큼 짧은 순간만 나타난다. 그러므로 타키온을 검출할 수 있는 확률은 극히 미미하며 지금까지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그렇다고 이 사실이 타키온의 존재를 ... ...
전자시대의 새로운 인간유형 실리콘 밸리의 소년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형성한 것이다.서해안의 실리콘밸리와 달리 동해안에서는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부근
에 기술단지가 형성되어 보스턴 서부교외의 환상우회로 주변에 첨단기업이 모여들었다.이밖에도 그런 지역이 두곳 더 있다. 한곳은 뉴욕주 트로이의 렌세렐이공대학 주변이고 다른 한곳은 듀크대학과 ... ...
개관 1년 앞둔 제2국립과학관 한국과학기술사를 재현한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건립으로 방향이 선회했다.82년 종합과학관 건설계획을 수립할 당시 과천 서울대공원
부근
과 대덕연구단지 2군데가 대상지역으로 물망에 올랐다. 과천지역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대중들의 이용면에서 유리한 입지를 갖추고 있었지만, 수도권 기능분산과 국토의 균형적 발전이라는 명분과 대덕을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