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백신을 생산할 수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은 유정란을 이용하는 방식이며, 세포배양이나 유전자 재조합으로 항원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점차 대체되고 있다.+ 더읽을거리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특집 ‘세상에서 가장 영악한 바이러스, 인플루엔자’(2017.2) dl ... ...
- [과학뉴스] 세포가 물질 이동시키는 새로운 경로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변형을 가하자 물질 이동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세포 내 물질이동의 문제로 발생하는 질병을 치료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24일자에 실렸다. doi:10.1073/pnas.170103011 ... ...
- [과학뉴스] 조류 독감, 인간에게 퍼뜨릴 수 있는 ‘돌연변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V186K, G228S)를 가진 헤마글루티닌이 인간 세포와 강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 세포와 결합하는 힘이 강하면 사람 간에 전파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연구팀은 실제 바이러스에 적용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는 없지만, 바이러스의 돌연변이를 주시함으로써 감염이 대규모로 ... ...
- [과학뉴스] 욕망이 들끓는 시대의 슬픈 자화상, 대마초와 해피벌룬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올리버 하위스 교수는 대마초의 중독 성분인 THC(Tetrahydrocannabinol)가 장기적으로 신경세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리뷰논문을 ‘네이처’ 2016년 11월 17일자에 발표했다(doi:10.1038/nature20153).대마초를 흡연하면 THC 성분이 뇌의 도파민 농도를 인위적으로 높여서 강한 쾌감을 준다. 하위스 교수는 ...
- [과학뉴스] 아토피 피부염 완치, 실마리 찾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필라그린과 아토피 피부염의 상관관계를 자세히 밝혀냈다.연구팀은 살아 있는 피부세포를 쌓아 인공피부를 만들었다. 인공피부 표면에서 필라그린을 없애자 아토피 피부염 증상이 나타났다. 자세히 분석한 결과,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피부처럼 KLK7 유전자가 과다하게 발현돼 있었다. 연구팀은 ...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우리는 암을 완전히 없앨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다. 사람을 쥐로 만들면 된다.” 암유전학 분야 대가인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버트 보겔스타인 박사 ... Intro. 암(癌) 지독한 랜덤 게임?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Part 3. 암 치료, 두 가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만수르의 비밀 훈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세포 속에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해요. 만약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되면 세포가 죽기 때문에, 황화수소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논리지요.그런데 높은 산에 올라가면 방귀가 더 많이 나온다는 사실! 높은 산은 지상보다 기압이 낮아 상대적으로 뱃속에 있는 대장의 압력이 커져요. 그럼 ... ...
- [과학뉴스] 장내미생물 나이는 4억 살 이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우리는 수백만 년 전 장내구균이 건조함에 내성을 갖게 될 때와 항생제가 그들의 세포벽을 공격할 때 어떤 유전자를 얻었는지 알게 됐다”며 “이는 강력한 항생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셀’ 5월 11일자에 실렸다. doi:10.1016/j.cell.2017.04.02 ... ...
- [과학뉴스] 인간의 후각, 기대 이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통해 비교했다. 그 결과 인간의 후각신경구가 절대적으로 크고, 안에 들어있는 신경세포 수도 1000만 개 내외로 다른 동물과 유사하다는 점을 확인했다.그는 또 동물마다 특히 잘 인지하는 냄새가 다르다는 데 주목했다. 논문에 따르면 인간은 쥐나 원숭이보다 볶은 커피 냄새 중 하나인 ‘3-머캅토-3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항생제 남용 말아야새로운 항생제 개발도 쉽지 않다. 세균의 DNA 합성, 단백질 합성, 세포벽 합성을 동시에 다 막는 새로운 항생물질을 발견하면 세균과의 싸움에서 장시간 우위를 선점할 수 있겠지만, 이런 물질은 발견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물질을 찾아도 인체에 무해하다는 것을 밝히기까지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