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온
안녕
안전
고정
평정
안락
침착
d라이브러리
"
안정
"(으)로 총 3,456건 검색되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 새로운 암호체계가 답이다!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가능한 것이다. 또한 실제 완전동형암호에서는 암호화된 메시지에 일부러 오류를 넣어서
안정
성을 높인다. 전통적으로 암호는 수학 텃밭사실 암호는 전통적으로 수학자들의 활약이 두드러진 분야다. 누구나 쉽게 암호를 풀지 못하도록 복잡한 수학 계산을 사용하는 것이 암호학의 기본이기 ... ...
INTRO. 핵쓰레기 더이상 버릴 곳이 없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아직도 많은 양의 우라늄과 소량의 플루토늄으로 구성된 위험한 방사성물질이다. 이것이
안정
되려면 긴 시간이 필요하다. 지난 수십 년간 우리에게 풍부한 전기를 제공한 원전은 이제 10만 년 동안 관리해야만 하는 독성 쓰레기를 남겼다. 우리가 외면한 사이, 원전 안에 있던 임시저장고는 곧 넘칠 ... ...
PART1. 핵 쓰레기통이 넘친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한다. 이를 습식저장 방식이라고 하며 5년 이상 이렇게 하면 핵연료 다발은 비교적
안정
된 온도로 떨어진다. 우리나라는 1979년 고리에서 첫 번째 상용 원전을 가동한 이후 대부분의 사용후핵연료를 이렇게 보관해왔다.제대로 된 저장고 없이 임시변통에 의존했던 이 방식도 이제 한계다. ... ...
가속기가 지구 멸망 시키나?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올해는 7.3GeV 수준의 충돌실험도 계획돼 있다.이들은 ‘릭’ 운영 직전인 1999년
안정
성 평가 보고서를 근거로 “100GeV보다 낮은 에너지에서 실험할 때 오히려 더 위험하다”면서 “입자들이 연쇄반응을 일으켜 지구상의 모든 것을 스트레인지 쿼크로 만들고 결국 지구를 지름 100m의 초응축 구로 만들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한 층으로 펼쳐져 있습니다. 두께가 0.2nm로 얇은데도 기계적 강도와 전기 전도성, 화학적
안정
성이 높아서 전 세계 과학자들이 재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발견되자마자 노벨상을 수상하기도 한 가장 핫한 재료입니다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원자력발전소나 우주정거장 건설을 연구하는 최첨단학문이기도 합니다. 구조물을
안정
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흙의 성질을 배우고 연구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정보통신기술과 결합된 지능형교통시스템을 연구하는 등 융합학문으로 진화하는 추세입니다.하나뿐인 지구를 보존하는 학문환경공학은 ... ...
“하늘을 나는 자동차 만들어 볼래요?”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넣기 위해 선택한 각진 모양은 유선형에 비해 공기저항이 커서 비행에 불리합니다. 이를
안정
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합니다.Q. 교수님 연구실에서도 이런 분야를 연구하시나요?A. 비슷한 면이 있지요. 제가 있는 ‘공력시뮬레이션 및 디자인’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비행체를 ... ...
면역세포로 암세포 ‘킬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의학 용어로는 ‘사이토킨 발작(cytokine storm)’이라고 부른다. 차츰
안정
을 되찾은 에마는 일주일 뒤 깨어났고, 이 날은 마침 에마의 7번째 생일이었다. 7개월 뒤 에마의 몸에서는 암세포가 깨끗이 사라졌고, 에마는 올해 3학년이 됐다.항암 T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법을 처음 ... ...
고함만 쳐도 아이의 뇌는 멍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내일 모레 시험을 앞둔 중학생 두 아들이 소란스럽게 장난을 치며 놀고 있다. “자자, 이제 그만 놀고 공부해야지.” 처음에는 조용하고 부드러운 목소리로 말한다. 아무런 반응 ... 비난으로 아이들의 뇌를 더 불
안정
하게 만들기보다 공감과 이해로 감정적 뇌를 차분하게
안정
시켜보자 ... ...
말 타 보셨나요?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130cm 이하의 조랑말과 150cm 이상의 덩치 큰 말이 들쑥날쑥 태어나다가 최근에는 비교적
안정
적인 말들이 태어나고 있다. 한국형 승용마는 ‘한라마’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고, 아직 공식 이름은 없다.그런데 이쯤에서 의문이 든다. 기마민족이었던 우리 조상들은 어떤 말을 타고 다녔을까? 서양에서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