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속 유해 화학물질 “직접 먹고 몸에 발랐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다시 참치 샌드위치를 먹는다.’이렇게 만 48시간 동안 참치만 7끼 먹은 남자가 있다.
옆
에서는 또다른 남자가 달달한 향기가 나는 항균 비누와 로션,방향제로 하루 종일 온몸에 ‘떡칠을’ 한다. 둘은 작정한 듯 몸에 나쁜 것을 듬뿍 섭취한다.황당하다. 웃기다. 하지만 한편으론 씁쓸함과 불편함이 ... ...
양파가 백합이라고? 꽃을 보면 알지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오늘 들에 나갔다가 예쁜 꽃을 봤어. 하얗고 작은 꽃 여러 개가 동그랗게 모인 모양이란다. 이렇게 예쁜 꽃을 어떻게 나 혼자 볼 수 있겠어. 우 ... 파괴해 빈혈을 일으키거든. 양파뿐 아니라 백합과 식물은 같은 영향을 주지. 그러니까
옆
에 앉아 있는 고양이에게 생각 없이 음식을 주면 안 돼 ... ...
나는 마카롱 사이언스 쉐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프릴이 만들어지는 거예요. 온도 조절에 실패하면 기포가 마카롱 표면을 뚫고 나오거나
옆
으로 퍼지면서 프릴이 납작해진답니다. 쉐프님이 어떻게 이런 예쁘고 맛있는 마카롱을 만드시나 궁금했는데, 과학원리를 훤히 꿰고 계셨구나!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이제 마카롱 안에 숨어있는 ... ...
비·커피·만년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바람 세기에 따라 비를 덜맞는 적당한 속도가 사라지기도 한다. 즉 바람이 강해 비가 몸
옆
쪽에서 들이칠 경우 몸을 좌우로 굽히지 않는 이상 피할 도리가 없으므로 빨리 달릴수록 비를 덜 맞는다. 커피의 물리학 | 나는 왜 커피를 자주 쏟을까“바쁜 일상에서 우리는 누구나 커피잔을 들고 걸을 때가 ... ...
[합체] 그리스 신화 속 염소는 괴물인가 아닌가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한 개였다. 그 다리로 용케 잘 서 있었다. 꼬리는 말총이고 수염이 없었다. 수의사
옆
에서 침을 흘리며 졸던 말이 갑자기 깨더니 히힝, 하고 울었다. 녀석은 이 동물이 말이라고 믿는 것 같았다.“’기’라는 상상 속의 동물이야. 중국의 기서 ‘산해경’에 나오지. 황제가 잡아 가죽으로 북을 만들면 ... ...
과학적인 지도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가져다 쓰는 경우가 많고, 메르카토르 도법은 자기나라를 가운데 높고 싶을 때 단순히 양
옆
의 위치만 바꾸면 되기 때문에 각 나라가 자기 입맛대로 만들기 쉬웠다”고 설명했다.지금도 왜곡이 적은 적도 가까운 곳을 나타낼 때는 여전히 메르카토르 도법이 널리 쓰인다. 물론 변화도 겪었다. 원통의 ... ...
꽉 막힌 도로 수학으로 해결하라!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오래 걸리기 때문에 내 차선이 더 막힌다는 착각을 하게 된다고 결론지었다.➋ 실제로
옆
차선의 차가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미국 예일대의 보스트롬 교수는 실제로 일정한 구간의 도로에서 천천히 가는 차선의 차량이 빠른 차선의 차량보다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도로에 있는 ... ...
Part 2. 엄마가 되면 뇌는 더 똑똑해진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가도 몰랐을 정도였죠. 그런데 지금은 아이의 조그만 ‘앵’ 소리에도 잠이 깨답니다.
옆
의 남편은 쿨쿨 자고 있는데 말이죠.”(3살 딸을 둔 30세 여성)“아이 둘을 키우다보니 매 순간마다 머릿속에서 자연스럽게 시간을 분배하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처녀 때는 엄두도 못 냈을 여러 가지 일들을 ... ...
8화 캄캄한 동굴 속에서 함정에 빠지다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울려 퍼지는 소리가 들렸다. 소리가 들리는 쪽으로 다가가자, 거대한 원기둥 형태의 석주
옆
에서 수염과 머리카락이 덥수룩한 웬 남자가 웅얼거리고 있었다.“자네들인가? 오늘 동굴에 불을 켠 사람이?”그 남자는 폴 일행은 쳐다보지도 않고 바닥에 놓인 타원형만 뚫어지게 바라보고 있었다. 폴이 ... ...
우리 동네 매미 내가 연구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있고요. 수컷의 생식기는 배의 끝부분에 있는데 종마다 다른 모양이랍니다. 참, 더듬이
옆
에 있는 기다란 대롱은 나무를 뚫을 정도로 튼튼해요. 수액을 빨아먹는데 쓰거든요.”열띤 설명이 이어지는 도중 동네 초등학생들이 신기한 듯 탐사대쪽으로 오더니 채집한 매미를 가리키며 말매미라고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