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례
관습
인습
전승
고전
세습
전통의례
d라이브러리
"
전통
"(으)로 총 1,798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허준의 행적을 들춰내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수 있다.허준 연구는 한국
전통
의학의 확립과 성취를 이해하는 실마리다. 한국의 의학
전통
은 고조선 때로 거슬러 올라가며, 그것은 허준의 의학을 거쳐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허준에 대한 좀더 심도 깊은 연구는 물론이거니와 그 이전과 이후 의학에 대한 상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테면, ... ...
2. 금싸라기 유전자 발굴하는 DNA칩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제거하는 독소 유전자를 갖고 있는 미생물로부터 이 유전자를 추출해 작물에 이식시켰다.
전통
적인 형질전환 방법은 같은 종 내에서 다른 형질을 갖는 품종을 찾아 서로 유전자를 교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밥맛은 있는데 수확량은 적은 벼 품종과 반대로 밥맛은 없지만 수확량이 많은 벼 품종을 ... ...
팔만대장경 기적의 보관 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페이지가 시작되는 해다. 임금을 비롯한 온 국민의 피와 땀으로 만든, 2백년 불교 역사의
전통
이 고스란히 새겨진 초조대장경판도 무사할 수 없었다. 사리타이가 이끄는 몽골의 불길질로 대구 부인사에 보관돼 있던 초조대장경판은 하룻밤 사이 처참한 잿더미로 변했다.그러나 조정의 대응이란 한 ... ...
한옥 마루는 신주 모신 신성한 장소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발생기원은 기온이 높고 습기가 많은 아열대나 열대 지역에서 찾고 있다. 동남아시아의
전통
주거지가 바닥을 높이 들어올린 다락집으로 돼 있는 점이나, 우리가 여름철 피서를 위해 원두막이나 정자에 올라가 쉬는 경우가 좋은 예다. 바닥을 지면에서 띄움으로써 습기를 피하고 각종 해충과 ... ...
Ⅲ 각양각색 경기장 지붕에 숨은 의미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형태적 차별성을 띤다. 원형에 가까우면서도 나무판으로 쉽고 싸게 만들 수 있는 팔각
전통
소반의 이치를 잘 활용한 경우다.지붕 역시 직사각형인 방패연 모서리를 본따 팔각형으로 만들어 기단과 형태적 일치를 이룬다. 더욱이 위로 도톰한 팔각형이기에 밑에서 보면, 기와의 무게로 자연스레 처진 ... ...
날씨따라 가격 변동 시키는 원격제어 자동판매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일반 가정용의 2배자판기에서 파는 물품을 한번 떠올려보자. 커피나 캔, 담배와 같은
전통
적인 자판기 품목 말고 특색있는 물품을 파는 ‘특이한’ 자판기를 말이다. 아마도 2-3년 전까지 유행했던 스티커자판기가 먼저 생각날 것이다. 그리고는 별로 없는 듯하다.하지만 자판기로 파는 물품의 ... ...
비슷비슷한 한옥지붕의 천태만상 표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똑같은 기와와‘八’자 모양의 비슷한 한옥지붕. 언뜻 보면 별반 다를 것 없는 한옥지붕은 그 나름의 위계와 의미를 갖고 있다. 기둥과 공포에 이어 이번 호에서는 ... 가장 아름다운 부분이다. 하지만 그 무거운 지붕을 2천년 동안이나 계속 떠받들고 있었던 것은
전통
건축의 숙명이다 ... ...
2 최정예 후보물질 대거 선발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자동화에도 많은 관심이 모아졌다. 이에 따라 신속성의 조합화학과 정확성의 자동화된
전통
적인 유기합성 기술이 결합해 고효율유기합성 기술이 탄생했다.자연계는 완벽하고 치밀한 원리를 근간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모든 자연계의 사실과 형태는 계산 가능한 것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현 단계 ... ...
2. 위기를 도약의 기회로 삼은 선진국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과학문화의 장인 과학 박물관과 자연사 박물관이 들어서 있다.영국은 미국과 다르게
전통
적으로 조기 전문화 교육과 엘리트 교육을 지향했으며, 핵심적인 과학기술 인력의 공급보다는 과학기술의 저변 확대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우리나라의 고등학교에 해당하는 연령층이 되면 학생들은 ... ...
마음으로 깨닫는 물질세계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유지하는 비결 중 빼놓을 수 없는 원칙이다. 외국의 명문대는 모두 자신만의 토론
전통
을 유지하고 있다.모교수는 요즘 토론수업을 좀더 활기차게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고민중이다. 하지만 교수 대 학생의 비율이 높은 국내 대학의 형편 때문에 이를 실현하기 쉽지 않다. 이런 열악한 상황에서도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