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통합"(으)로 총 1,424건 검색되었습니다.
- 3. 사용자·프로그래머가 보는 한글코드 문제과학동아 l1996년 02호
- 가중시켰다는 점이다. 그동안 우리는 완성형과 조합형이란 두 가지의 표준 코드를 통합하려고 얼마나 많은 애를 써 왔는가. 사용자들은 통신에서 다운받은 텍스트 파일을 출력하기 위해 프린터의 KS/KSSM 전환을 하는 것이 얼마나 불편했는지, 또 코드 변환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느라 얼마나 많은 ... ...
- 2. 유니코드, 논쟁에 종지부 찍을 것인가과학동아 l1996년 02호
- 설립(Unicode Inc.). 한자통합을 위해 한국 중국 일본 연합연구그룹 소집. ISO10646과 유니코드 통합원칙 결의. 유니코드 1.0판 출판.92년 : ISO 10646 통과.유니코드 컨소시엄의 구성정회원(1996년 1월 현재)AT&TGIS, 애플 DEC에코로지컬 링귀스틱스(Ecological Linguistics) 휴렛팩 ...
- 4반세기의 발자취 KAIST사람들과학동아 l1996년 02호
- 병합하면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라는 이름을 달게 됐다. 89년에는 한국과학기술대학을 통합하면서 KAIST는 대학원 중심·연구중심 대학으로 면모를 일신한다. 전원기숙사 생활, 병역특례, 국비장학생 등 많은 특혜를 받았던 KAIST 학생들, 그들은 사회에 나와 제몫을 하고 있는가. 한국의 ...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과학동아 l1996년 02호
- 가르치는 직업도 갖고 싶다”는 것이 정박사의 희망이다. 과기대가 KAIST학사과정으로 통합된 것에 대해 정박사는 “과기대의 발전을 위해서는 오히려 잘된 일”이라고 평가하면서 “과기대라는 학교가 없어진 것도 아니고 졸업생들의 입지가 흔들리는 것도 아니다”라고 했다.채박사와 정박사는 ... ...
- PART Ⅲ. 참선에서 공중부양까지과학동아 l1996년 01호
-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이것은 앞으로 정신세계를 폭넓게 이해하고, 특히 의식과 물질을 통합하는 열쇠 역할을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인간의 창조적 지성을 최대로 높여 모든 가능성을 실현하는 새로운 삶의 문호를 개척하리라 본다 ... ...
- 시민에게 땅을, 도시텃밭을 일구자과학동아 l1995년 12호
- 장기적으로는 서울의 도시 공간구조를 획기적으로 개편할 필요가 있다. 도시와 농촌이 통합돼 서로의 장점이 조화되는 새로운 개념의 도시를 검토하는 것이다.도시농업 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도시계획 체제가 기존의 성장주의에 입각한 틀을 깨고 환경친화적 사고를 통해 ... ...
- 2 온도·습도-쾌·불쾌의 가늠자과학동아 l1995년 11호
- 제안한 경험적 감각지표로 온도 습도 및 공기의 유동이 인체에 미치는 열효과를 하나로 통합해 상대 습도 50%에서의 등감각온도를 말한다. 예를 들어 21℃에서 습도가 30%일 때는 20.5℃의 습도 50%인 상황에서와 동일한 느낌을 갖게 된다고 표시하는 방법이다.그러나 신실효온도에서는 작업량이나 옷을 ... ...
- 1. 3.1 단점 보완, 사용하기 쉽고 빠르다과학동아 l1995년 10호
- 개선되었는가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자.구조면에서 보자면 윈도 95는 완전히 통합된 32비트 보호 모드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따로 MS-도스의 복사본이 필요치 않게 됐다. 즉, 윈도 95로 바로 컴퓨터가 시작되는 것이다. 윈도 95는 윈도 3.1에 비해 멀티태스킹 멀티스래딩 지원을 통해 시스템의 ... ...
- 2. 로봇의사가 몸속 누비며 진찰과학동아 l1995년 10호
- 이러한 바람을 실현하기 위해 많은 과학자들이 반도체 전자공학 기계공학 기술을 통합해 마이크로머신 일부를 상용화하는 단계에 이르렀다.마이크로머신은 현미경에 의하지 않고서는 볼 수 없을 정도의 수십㎛(${10}^{-6}$m) 크기이며 , 기계 및 전자기능을 갖는 복합시스템이다. 정보화 사회의 초석은 ... ...
- 생생한 현장 실습, 산교육에 큰 도움과학동아 l1995년 09호
- 많았다. 그런 면에서 이번 연수가 참으로 도움이 많이 됐다. 우리의 중학교 과학교육이 통합교과목이다 보니 비전공자가 가르치면서 겪는 애로가 많다. 이런 현실을 감안, 실질적인 교사 연수가 자주 있었으면 좋겠다. 욕심을 부린다면 저같은 초보자를 위해서는 기초과정, 좀더 체계적인 지식을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