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식
스타일
형식
유형
타입
형님
종류
d라이브러리
"
형
"(으)로 총 1,25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첨단 선박들에는 어떤 것이 있나?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남아있다. 그러나 이 추진기술이 완성되면 항공운송에도 대항할 수 있는 새로운 운송
형
태로 될 가능성이 있는 획기적인 것이다.■잠수 탱커석유 자원이 점차 고갈되면 북극이나 남극의 지하에 많이 매장되어 있다고 보는 석유를 인류가 채취해야 할 시기가 올 것이다. 이때 이에 적합한 수송수단인 ... ...
정보문화확산 글짓기 현상공모 최우수 당선작 내가 본 정보통신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한번 만나고 부터는 친
형
제 같은 사이가 되었다. 어려운 고민 거리가 있을 때마다 친
형
이나 누나가 없는 나에게 이 두분의 조언은 얼마나 되움이 되었는지 모른다.편지만 주고 받던 사람들을 직접 보게 되었을 때의 기분은 아마도 아마추어무선사들이 서로 만났을 때의 기분과 흡사할 것이다. ... ...
자폐증 밉지 않은 「레인맨」,그러나 방치하면 큰일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질문에 대해 계속 '-음 -음' 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안타깝게 만들었던 장면, 동생이 '이젠
형
이 내 차를 운전해도 돼'라는 얘기를 하자마자 즉각적으로 운전대를 잡으려 하다가 사고가 날뻔한 장면, 신호등이 고장나 '보행중지'등(燈)이 켜지자 차도에 그냥 서버리는 행동에 대한 묘사가 가장 잘 ... ...
TV과외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교재에 체크해 두었다가, 가까운 시간 내에 만날 수 있는 친구나 학교 선생님 또는
형
이나 선배에게 물어 보는 것이 효과적이다. 복습은 본수업을 받은 후, 가능한 한 빠른 시간 내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즉 본수업과 복습사이에 시간의 공백이 길면 길수록 비효과적이다. 예컨대 오늘 ... ...
제2세대 우주왕복선과 극초음속 여객기개발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이제 우주왕복선은 미국의 독점물이 아니다. 소련을 비롯한 프랑스 일본 독일 영국 등은 연료만 주입하면 재사용이 가능한 '2세대 우주왕복선'개발 ... 계속되고 있다.1987년 일본의 항공우주기술연구소(NAL)는 수평으로 이착륙하는 서독의 젠거
형
태의 우주비행기에 대한 개발계획을 발표했다 ... ...
개관 1년 앞둔 제2국립과학관 한국과학기술사를 재현한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위치에 건립할 것을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을 제외하고는 각 시·도교육위원회에
형
식적으로 갖추고 있는 과학관이 전부인 우리 실정에 남부럽지 않는 국제규모의 종합과학관이 더구나 중부권에 생긴다는 사실은 무척 반가운 일이다 ... ...
고3병의 예방과 치료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형
성된 것을 고치려면 그만큼 많은 힘과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그러나 올바른 인격이
형
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고3병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운다. 청소년기에 해결해야 할 과제자체만으로도 힘이 드는데 대학을 가야 하는 부담까지 겹치게 되어 견딜 수 없는 상황에 도달하고 만다. 그 결과 여러 ... ...
밝은미래 예상케하는 한국의 항공산업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예정이라는 것이다.또 이연구소는 90년대 중반이후에는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중
형
헬기 및 수송기 훈련기 제작계획을 세우고 2천년대에는 고유모델의 전투기도 개발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처럼 대한항공을 비롯한 삼성 대우등 대기업의 항공산업 참여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항공산업은 아직 ... ...
동경의 에너지 핵 융합 발전의 가능성 점검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서울공대 핵공학과에 SNUT79라는 토카막이 건설되었고(사진참조) 에너지 연구소에도 소
형
이 건설되었으나 아직 초기단계이다. 현재 많은 노력이 경주되고 많은 진전이 있으나, 아직도 공학적인 문제가 해결 안되고 있어 실용적인 핵융합발전로 건설은 다음 세기 초반 이후일 것으로 추정된다 ... ...
생체와 음악을 잇는 리듬의 비밀 흔들림 현상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듣는 사람의 가슴을 울리는곡은 심박
형
흔들림을 나타내고 두뇌로 작곡한 곡은 심박
형
의 흔들림을 나타내지 않는다고 생각해볼수도 있다.아직은 이런 단계이지만 이런 연구와 실험이 더욱 발전되면 생체와 음악에 다같이 감추어져있는 흔들린 현상의 수수께끼를 풀게될 날이 있을 것이다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