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글자"(으)로 총 1,10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글의DNA를 찾아서(2)어린이과학동아 l20080930
- ‘세종대왕상’이라고 이름붙일 정도로 세종대왕의 업적과 한글의 우수성을 인정했어. 한글 DNA의 분석을 마친 나는 이제 우주 공식글자로 쓸 한글을 가지고 떠나야겠어.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한글 DNA의 특성을 잘 알고 그 생명력을 키워 한글을 바르게 쓰도록 노력했으면 좋겠어! 미니 인터뷰 한글을 잘 쓰는 비법은 뭘까요? 맞춤법을 외우느라 끙 ...
- 한글의DNA를 찾아서(1)어린이과학동아 l20080930
- ㅏ,ㄹ’로 글자를 나눠서 찾지 않고 ‘달’이라는 글자 한 덩어리로 찾기 때문에 더 빨리 찾을 수 있단다. 뇌 속에 동영상을 켜다 소리글자인 한글은 다양한 소리와 동작을 그대로 적을 수 있어. 뇌는 ‘딸랑딸랑’ 같은 소리를 담은 의성어나 ‘폴짝폴짝’ 같이 동작을 나타내는 의태어를 볼 때 얼굴 인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 ...
- 오리고 붙이고~ 나만의 책 나와라!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080916
- 실로 꿰맨 책인 선장을 만들어 보기로 했어. 큰그림 보러가기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우리만의 책이 만들어졌어. 앗! 그런데 아무런 글자가 없는 텅텅 빈 책이라고? 후후~, 기사와 만화를 좋아하는 ‘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답게 우리만의 글을 써서 꽉 채울 예정이란다. 이 과정까지 끝나면 정말로 특별한 나만의 책이 되겠지? 올 가을에는 이 책이 너덜 ...
- 스르르륵~ 물에서 사라지는 마법종이가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접착제가 필요하답니다. 그런데 이 접착제는 펄프 섬유나 CMC보다 물에서 풀어지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려요. 그래서 종이가 사라져도 글자는 좀 더 물 위에 남아 있는 거예요.” 다미더 양이 회심의 미소를 지으며 소리친다. “허당 도사! 마법 종이는 무슨 마법 종이! 어서 내 세뱃돈 물어 내욧!” “자, 잠깐만! 세뱃돈을 물어 주는 대신 종이 만드 ...
- 똑똑똑~, 공부'뇌'를 깨워라(1)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뜻이 숨어 있는 거란다. 또 다른 방법은 다양한 방식으로 기억을 저장하는 거야. 예를 들어 ‘사과’라는 단어를 외운다고 치자. 일단 글자를 읽고 사과라는 단어를 외워. 그리고 사과에서 무슨 향이 나는지 직접 맡아 보고, 무슨 맛인지도 먹어 봐. 그리고 사과밭에 가서 사과가 어떻게 열리는지도 보고 사과를 주제로 멋진 글도 써 봐. 그러면 뇌의 여 ...
- 내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1)어린이과학동아 l20080111
- 함께 알아볼까? 서명 부모님이 마트에서 물건을 사고 카드로 계산을 한 다음 서명을 하는 모습을 본 적 있지? 사람마다 서명을 할 때 글자 모양이 다른 것은 물론 서명을 하는 동작 사이의 간격, 글씨를 쓸 때 펜으로 누르는 압력과 각도가 달라서 사람을 구별하는 열쇠로 쓸 수 있단다. 얼굴의 열 분포 얼굴을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하면 사람마다 독특한 ...
- 미리 입어 보는 미래의 옷(2)어린이과학동아 l20070314
- 머지 않았다. 눈이 침침해도 만사 오케이 나이가 들면 눈이 침침해진다. 아무리 두꺼운 돋보기를 껴도 할아버지, 할머니가 깨알 같은 글자를 읽기란 정말 힘든 일. 만약 대신 읽어 주는 옷이 있다면 어떨까? 읽고 싶은 게 있다면 소매에 있는 스위치를 누른다. 그러면 손목에 달린 스캐너가 글을 읽어 이어폰을 통해 음성으로 들려준다. 할아버지, 할머니 ...
- 50년 후 로봇도 세금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0111
- 달린 농구 유니폼을 소개했다. 이 유니폼이 실용화되면 선수만 봐도 경기 내용을 모두 알 수 있다. 유니폼 상의에는 글자나 숫자를 표시하는 전자 발광 표시장치가 옆구리, 어깨, 가슴, 등 네 군데에 붙어있다. 관중은 각 선수의 득점, 반칙 횟수, 남은 경기 시간, 이기고 있는 팀 등을 이 장치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페이지 교수는“실제로 2대 ...
- 썰렁홈즈가 보낸 마지막 편지어린이과학동아 l20061214
- 그 정도의 정보로는 썰렁홈즈를 찾을 수 없다. 나머지‘면’과‘리’도 알아 내 보자. 세 번째 힌트는‘○○○면’이라고 적힌 글자를 잘라놓은 몇 가지 조각이었다. 비록 쉬운 조각이긴 했지만 편지에 붙어 있어서 그냥 눈으로만 확인해야 했다. “세상을 혼자서만 살 수는 없을 거야. 자신의 개성도 강해야 하지만 서로 돕고 힘을 합하면 뭔가 더 큰일을 해 ...
- 나를 닮은 로봇 vs 로봇을 닮은 나 (2)어린이과학동아 l20061114
- 드는 상상을 한다. 그러면 뇌의 신호를 잡아 낸 컴퓨터가 곧바로 반응하여 컴퓨터 화면의 커서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원하는 글자 앞에서 커서를 멈추는 것도 가능하다. {BIMG_l11} 1998년 영국 레링대학교의 캐빈워릭 교수는 팔에 신경칩을 삽입하는 수술을 했다. 최초의 사이보그가 된 것이다. 몸 속에 삽입된 칩은 개인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
이전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