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꽁지
뒤꽁무니
꽁무니
숨바꼭질
술래잡기
태그
술레잡기
어린이과학동아
"
꼬리
"(으)로 총 1,32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사탐 팀들과 전북 탐사... 갔다 왔답니다..^^
탐사기록
l
20170504
진안과 완주... 이끼도롱뇽 도마뱀 푸른빛을 띤 청개구리 검은등쌍살벌
꼬리
치레도롱뇽 유생 ...
변영호 선생님과 함께 유전자분석을 하고 있는 긴
꼬리
투구새우.. 관련입니다.
탐사기록
l
20170424
미국의 아메리카긴
꼬리
투구새우들과 유전자 서열이 같은 여러 무리가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미국에서... 농사와 관련된 많은 생물이나 물건에 알이 묻어와 우리나라에서 살고 있는 듯 합니다... 보호종으로도 지정되었던 긴
꼬리
투구새우는.. 아마도 외래종일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
서울 성북구 발자국 「제비자유탐사」 170423
탐사기록
l
20170423
서울. 발자국 자유탐사-서울 중랑구 동일로 149길 69-18 170423 17:30 제비 콘크리트건물 (2층집) 3미터정도 작년둥지 사용 포란중 너무 높고 들어갈 수 없어서 사진으로 확인 셔터소리에 머리와
꼬리
만 살짝보임 전깃줄에 제비한마리 있음 네둥지중에 처음둥지 ...
반짝반짝소개터
포스팅
l
20170218
반팔티셔츠로 강아지 집을 만들어줬어요! 지느러미와
꼬리
가 있는 물개하우스랍니다! ...
'80/20' 파레토의 법칙과 새로운 롱 테일의 법칙
기사
l
20170215
되면 잘 안 팔리는 비인기 상품과 틈새 상품의 줄은 길고 낮게 늘어지게 되죠. 이 부분이
꼬리
에 해당합니다. 그 모습이 마치 공룡의
꼬리
와 비슷하다고 해서 롱 테일의 법칙이라고 이름 붙여진 것입니다. 이 롱 테일의 법칙을 가장 먼저 발견한 사람은 IT 잡지 의 편집장 크리스 엔더슨입니다. 한 온라인 서점의 전체 수익의 ...
동물 권리 보호 2편 - TV 프로그램 '슈퍼맨이 돌아왔다'의 두 얼굴
기사
l
20170108
학대한다는 논란이 있습니다. 춤추거나 뽀뽀를 하는 것이 아닌 훈련을 통해 나온 동작들입니다. 마린파크에서는 돌고래의
꼬리
지느러미를 잡고 움직이지 못하게 한 다음 관람객들에게 만져보게 하거나, 하루 5시간 동안 수십 명의 관람객들에게 지속적으로 먹이를 공급받는 등의 문제점이 있습니다. 또, 마린파크가 큰돌고래 4마리를 수입한 일본 다이 ...
동물 권리 보호 1편 - 모피와 가죽의 진실
기사
l
20170107
과정도 모피 생산 과정 못지않게 끔찍합니다. 살아 있는 악어의 코 부분을 잡아 누른 뒤 뒤통수 부분을 칼로 자르고 칼을 밀어넣은 후
꼬리
밑부분까지 칼을 쭉 내립니다. 이어서 목이 반 이상 잘려 나간 악어를 테이블 위로 옮깁니다. 악어어의 목에서는 선홍색 피가 분수처럼 솟아 오릅니다. 악어의 의식이 있는 채로 가죽을 벗기면 악어가 느끼는 고통은 ...
추천 하는 책(죄송 하지만 욕 나와요. 보신 분들은 알아요!!!)
포스팅
l
20161210
을미사변은 일제가 명성황후 시해를 조선의 자작극에 의해 일본이 도움을 준것으로 꾸며 명성황후를 시해한 사건이다. 하지만
꼬리
가 길면 잡히는 법. 명성황후의 노리개가 사건의 진실을 이야기 해줌으로써 아이들에게 올바른 역사를 알려주었다. 3.1운동관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해 순직한 유관순 열사의 이야기. 유관순 열사의 손에 든 태극기가 민지와 용 ...
생태계의 질서를 지키는 수달을 한국수달연구센터에서 만나다
기사
l
20161207
수달의 털색은 암갈색이며 배 부분은 옅은 갈색, 턱 아래 부분은 흰색입니다. 수달은 몸 길이는 크고 몸길이의 2/3 정도 되는 굵은
꼬리
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체 생태계의 먹이 사슬 질서를 건강하게 유지시켜 주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종을 "핵심종"이라 부릅니다. 수달이 바로 그러한 핵심종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반수생 포유류"입니다. ...
한국수달연구센터에서 아기 수달 영동이를 만나다
기사
l
20161204
한 마리를 입에 물고 또 한 마리를 욕심 내서 앞발로 가져가는 모습이 우습기도 했다. 수달은 먹이를 잡는 물속에서는 물갈퀴와
꼬리
로 추진력을 높이고 방향 전환을 잘해서 굉장히 빠르다. 다리가 짧아 땅에서는 느리다. 나중에는 야생으로 돌려보내야 하기 때문에 사람의 손이 닿지 않게 파이프를 통해서 물고기를 주기도 했다. 소리가 나니 수달들이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