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면"(으)로 총 1,521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국소아과학회가 권하는 ‘명절 스트레스 대처법 5가지’2017.01.27
- 사소한 것일 수 있지만 위의 다섯 가지 방안을 기억하고 이번 명절 연휴에 실천해 보시면 어떨까요? 가족과 함께 모두 즐겁고 행복한 명절 되시길 바랍니다.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월간지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단행본의 에디터를 거쳐 현재는 프리랜서 외신 번역 및 ... ...
- 설날 경험하는 공감 백배 ‘머피의 법칙’ 이야기, 일어날 일은 일어난다!동아사이언스 l2017.01.26
- 1. 엄마 심부름으로 장을 본 뒤 계산하려고 가장 짧은 줄을 골라 섰다. 근데 내가 선 줄이 가장 느리다. 2. 그래서 눈치껏 빠르게 옆줄로 옮겼다. 빠져나온 줄을 보 ... 낙담하는 것보단, 일어날 일이 일어난 것일 뿐이라며 훌훌 털어버리는 새해가 되었으면 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
- [2017 설 특선 영화 총정리!] 설날, 무슨 영화 볼래? 2017.01.26
- 배우들의 티켓 파워가 약해서인지 크게 흥행하지는 못한 작품이다. tvN도 어떻게 보면 단순하다. 같은 CJ 계열사인 CJ엔터테인먼트가 배급한 ‘히말라야’(1/27(금) 저녁 6시 40분), ‘좋아해줘’(1/27(금) 밤 10시 50분), ‘검은 사제들’(1/28(토) 밤 10시 40분) 이렇게 세 작품을 방영한다. 드라마 ... ...
- [후루룩촵촵] 노릇노릇한 고등어를 구워라!!!동아사이언스 l2017.01.23
- 빨리 들어가게 하는 것도 좋습니다. 약한 불에서 천천히 익어가는 과정을 기다려 주면 고등어는 바삭한 껍질과 부드러운 속살로 보답한답니다! 고등어는 두뇌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건강에도 좋은 불포화지방산 오메가3가 풍부합니다. 오늘 저녁은 적당히 잘 익은 맛있는 고등어 구이로 솜씨를 ... ...
- [주간졸림증 진단법] 낮에 꾸벅꾸벅 존다? 그렇다면 이렇게!2017.01.14
- 임상강사로 일했다. 성안드레아병원 정신과장 및 이화여대, 경희대 의대 외래교수를 지내면서,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정신장애의 신경인류학적 원인에 대해 연구 중이다. 현재 호주국립대(ANU)에서 문화, 건강 및 의학 과정을 연수하고 있다. '행복의 역습'(2014)을 번역했고, '재난과 정신건강(공저)'(201 ... ...
- [H의 맥주생활 (17)] 수도원에서 만드는 성스러운 술, ‘트라피스트 맥주’2017.01.13
- ‘두벨’(Dubbel), ‘트리펠’(Trippel), 쿼드루펠(Quadrupel)로 크게 나뉘는데 영어로 표현하면 각각 더블, 트리플, 쿼드러플이 된다. 두 배, 세 배, 네 배라는 의미에 맞게 일반 맥주보다 도수가 높다. 두벨의 경우 도수 7% 정도가 일반적이고 갈색이나 붉은색이 감도는 검은색이다. 견과류와 어두운색 말린 ... ...
- [이현경의 온도차 ⑤] 굿바이, 오바마 8년의 유산동아사이언스 l2017.01.10
- 사실 과학기술 정책들은 장기적으로 추진되는 경우가 많아서 현 정부의 이런 요청은 일면 당연해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선 후보 시절부터 보여준 트럼프의 과학기술에 대한 시각과 자세 때문일까요. 이 부분에 유독 눈길이 갑니다. 트럼프는 오마바 정부가 오랫동안 추진해온 여러 ... ...
- 난방텐트, 정말 따뜻할까과학동아 l2017.01.10
- 수치입니다. 두께와 재질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고, 텐트 안팎의 공기 온도를 비교하면 효과가 더 드라마틱하게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만, 유행한다고 그 효과를 과신해서는 안 될 것 같습니다 ... ...
- 개를 키우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절대 기쁨’ 몇 가지!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세모눈을 치켜뜨고 보지만 뒤로 갈수록 사연은 애달파집니다. 밖에 나갈 때 무서우면 자기 뒤로 숨는 게 귀여웠으며, 힘들었던 학창 시절 같이 시간을 보낸 영향으로 수의학과를 가게 됐다고요. 결국엔 동생이라고 칭하며 사람으로 이루어진 가족보다 더 가족처럼 생각했다는, 절절한 이야기가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2017년 행복하고 싶다면, 이렇게 해보자!2017.01.03
- 자존감이 그렇듯, 행복 역시 나만이 답을 알 수 있는 나만의 것인데, 사회의 이러한 면이 사람들이 자신의 행복을 찾아가는 걸 막고 있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 이 기회에 행복에 대한 ‘태도’ 점검해보자. ※ 참고문헌 Sheldon, K. M., Abad, N., Ferguson, Y., Gunz, A., Houser-Marko, L., Nichols, C. P., & Lyubomirsky, S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