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주
거즈
뉴스
"
안정하기
"(으)로 총 5,12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파지요법을 중심으로 파지 연구의 역사와 전망을 흥미진진하게 그리고 있는 책 ‘착한 바이러스’가 최근 출간됐다. 교보문고 제공 7월 하순 장마가 끝나고 시작된 무더위의 기세가 대단하다. 이러다 보니 되도록 외부 활동을 피하고 남는 시간은 집이나 동네 카페에서 책을 보며 지내고 있다. 아무 ... ...
태양전지 효율 높일 새 '준이차원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8.08
연구팀의 연구 결과가 실린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리티얼즈' . 한국연구재단 제공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기존 결함을 해결할 새로운 태양전지 소재가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이광희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와 김희주 에너지융 ... ...
해외서 전량 수입하던 ‘안전 모니터링 센서’ 국산화 '목전'
동아사이언스
l
2023.08.08
이민구 한국원자력연구원 기기안전진단연구부 책임연구원이 친환경 압전형 센서 시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해외 기술에 100% 의존해온 안전 모니터링 센서 기술을 개발하고 시제품 제작까지 성공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압전형 센서 소재·부품 원천 ... ...
코로나19 일평균 확진 5만명 넘어…정부, 감염병 등급 전환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23.08.07
7일 오전 서울 용산구보건소에 마련된 선별진료소에서 한 의료진이 차단봉에 몸을 기대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하루 평균 확진자 수가 5만명을 넘어섰다. 질병관리청 발생 현황에 의하면 7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2만 255명이다. 최근 7일간 일 ... ...
[표지로 읽는 과학] '리튬 금속 배터리' 성능 저하 막는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8.05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 이번 주 호의 표지에는 12면체 도형 이미지가 실렸다. 좌측에는 ‘빠른 전환, 급속 충전 배터리에서 예측 가능한 다면체를 형성하는 리튬 금속’이라고 적혀 있다. 위장 리 로스앤젤레스캘리포니아대(UCLA)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의 리튬 금속 배터리 연 ... ...
다음주까지 폭염·열대야 지속…"온열질환 사망 추정 18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8.04
폭염이 계속된 4일 대구 중구의 한 공사장에서 근로자가 목에 얼음주머니를 두르고 더위를 이겨내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장마가 종료된 후 시작된 폭염이 다음주까지 이어지겠다.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가 늘어나는 가운데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장마가 종료된 ... ...
[과기원NOW] UNIST, 고효율 태양광 수소 생산 위한 실리콘 광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03
(왼쪽부터) 최유리 UNIST 연구조교수, 류정기 교수.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류정기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박수진 포스텍 화학과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태양광 기반 하이브리드 실리콘 광촉매'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실리콘 광촉매는 가시광선 흡수력 ... ...
'안 쓸 땐 전력소비 0' 초저전력 웨어러블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8.02
NRS 인장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얘시. 연세대 제공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력이 '0'이 돼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도 일상생활에서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초저전력 웨어러블 헬스케어 시스템'이 개발됐다. 연세대는 김현재, 이태윤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고신축성 전도성 섬유를 기 ... ...
청국장 속 미생물, 혐기성 플라스틱 분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02
발효콩 청국장.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다양한 농축산 자원에서 혐기성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미생물을 찾아냈다. 미생물에 의한 생분해가 어려울 것으로 여겨졌던 플라스틱을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는 김영훈 농생명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폴리스타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유기반도체 소재 개발 김윤희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8.02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8월 수상자에 선정된 김윤희 경상대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유기반도체 소재 원천 기술을 개발해 차세대 전자소자 상용화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은 김윤희 경상국립대 화학과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8월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