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158건 검색되었습니다.
적게 먹어도 살찌는 이유...새로운 유전자·미생물 속속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준다는 연구 결과도 나오고 있다. 마쓰무라 시게노부 일본 오사카대 교수 연구팀은 ‘CREB-
조절
전사 촉진제1’(CRTC1)이라는 이름의 유전자가 지방과 기름에 대한 식욕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실험생물학회지’에 지난달 9일 발표했다. CRTC1은 포만감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 ...
[일상 속 뇌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기능을 좋게 할까
2022.12.30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
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미역·갯벌의 재발견...의외의 탄소 흡수원 부상
동아사이언스
l
2022.12.30
기존의 예상을 깨는 연구결과다. 연구팀은 기존의 예상이 플랑크톤의 ‘영양 흡수
조절
능력’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을 파고 들었다. 지난 30년간 수집된 플랑크톤 자료에 따르면 먹이가 고갈된 시기에도 플랑크톤의 생산성이 일정하게 유지된 것으로 관측됐다. 플랑크톤이 인(P) 대신 황(S)을 ... ...
차세대발사체·SMR·양자 등 국가전략기술 집중 육성...민관 프로젝트 확대
동아사이언스
l
2022.12.28
탑재해 발사될 예정이다. 또 재사용 발사체로 개량할 수 있도록 엔진에는 재점화, 추력
조절
기술이 적용된다. 뉴 스페이스 시대에 민간 주도 우주산업 육성을 위한 종합지원체계도 구축했다. 과기정통부는 연간 50억원 규모의 우주 스타트업 전용 펀드를 추진한다. 2023년 하반기까지는 우주 ... ...
이노스페이스, 국내 첫 하이브리드 로켓 발사 내년 1분기 내 재시도
동아사이언스
l
2022.12.27
함께 쓴다. 하이브리드 로켓 기술은 구조가 단순하다는 고체 로켓의 장점과 추력
조절
이 가능한 액체연료의 장점을 융합한 기술이다. 이노스페이스에 따르면 짧은 제작기간과 안전성, 경제성을 갖춘 게 장점이다. 이노스페이스 측은 ... ...
체온 마음대로
조절
하는 뉴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12.27
이러한 기술은 질병의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팀은 “체온
조절
은 열사병, 저체온증와 같은 기후변화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질환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
식물 물에 담그면 역분화 촉진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며 "이번 연구결과를 발전시켜 향후 어떤 종에서도 식물 체세포 분화를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몰레큘러 플랜트' 12월 5일(현지시간)자에 발표됐다 ... ...
고체전해질 입자 크기 1/10로 만드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극성 용매의 주입 속도와 노즐 크기, 무극성 용매의 온도 및 혼합 속도 등 공정 조건을
조절
하면서 재결정화되는 고체전해질의 입도와 순도를 제어할 수 있다는 것도 밝혔다. 이번 연구를 이끈 하윤철 책임연구원은 “용매 치환을 통한 입도 제어 기술은 고체전해질의 실질적 활용에 가장 필요한 ... ...
세포의 대화를 가로채 약으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22.12.24
있는 치료용 단백질의 발현을 극대화한다. 인프로델은 엑소좀 내에 유전자 발현을
조절
하는 전사인자를 넣어 약물 전달 확률을 기존의 30%에서 70~80% 정도로 두 배 이상 끌어 올렸다. 마지막으로 연구가 진행 중인 퓨소좀은 세포막에 엑소좀을 융합시켜 원하는 막단백질을 이식하는 기술이다. ... ...
바다 식물 플랑크톤, 기후변화 막는 방어막
동아사이언스
l
2022.12.22
식물 플랑크톤 생산성이 전지구적으로 8%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양 흡수
조절
능력을 반영해 보니 2100년까지 플랑크톤 생산성은 전지구적으로 약 5%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권은영 IBS 기후물리 연구단 연구위원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영양염 고갈이 가장 큰 아열대 해역에서는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