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진주사
장
주사바늘
주삿바늘
주사침
바늘
관리자
뉴스
"
주사
"(으)로 총 1,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바타 마우스’는 실험동물의 희생을 줄일 것인가
2014.10.05
실험용 쥐를 개발하는 연구가 한창이었다. 실험실에서 배양해 둔 암세포를 쥐에게
주사
하던 기존 방법은 효율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많은 연구가 이뤄졌음에도 불구하고 췌장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6% 밖에 되지 않는다. 기사에서는 올리브 교수를 비롯한 학자들이 연구하고 있는 다양한 ... ...
[연구실에서 시장으로(下)] 좋은 아이디어, 좋은 기술이 ‘차세대 먹을거리’ 의료 시장 이끈다
2014.09.25
이 문제를 해결했다. 수술 전에 종양 부위에 이번에 개발한 ‘나노형광표지자’를
주사
하면 수술 중에도 밝은 빛을 내기 때문에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다. 수술 부위가 줄어들기 때문에 상처가 빨리 아물고 흉터도 작아 수술 후 부작용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김 과장은 “간단한 아이디어지만 ... ...
주사
로 하이드로겔 맞으세요~
2014.09.17
소개됐다. 한 교수팀은 미국 하버드대 의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광학 특성이 우수한
주사
형 하이드로겔을 개발했다. 이 하이드로겔 안에 인슐린 세포를 넣으면, 빛을 쪼일 때 마다 인슐린이 나오게 된다. 당시 한 교수팀은 이를 이용해 빛을 조사해 몸속에 있는 독성 중금속의 양을 시각적으로 ... ...
긴팔원숭이 팔은 왜 길어졌나
2014.09.14
‘사이언스’ 표지는 잠비아에 있는 한 병원의 모습을 담았다. 병실 침대 위에는 손등에
주사
바늘을 꽂은 어린 손자가 앉아 있고, 할머니는 손자에게 물을 먹이고 있다. 표지 속 소년은 앓는 질환은 다름 아닌 말라리아다. 최근 15년 동안 말라리아를 퇴치하기 위한 기금이 많이 모이고, 예방 ... ...
해남 메뚜기들은 왜 떼를 이루었을까
2014.09.01
걸 증명하기 위해 두 가지 실험을 했다. 즉 페로몬 같은 외부 자극 없이 세로토닌을
주사
해 행동변화가 일어나는지 확인했더니 정말 따로 노는 걸 좋아하던 녀석들이 같이 어울렸다. 다음으로 세로토닌의 작용을 방해하는 물질을 넣은 뒤 페로몬 같은 자극을 주는 실험을 했더니 예상대로 무리를 ... ...
결핵 예방에는 BCG 대신 이거 맞으세요~
2014.08.26
비슷하기 때문이라는 것. 실제로 생쥐에게 새 백신을 접종하고 발바닥에 한센균을
주사
한 뒤 7개월이 지나 균의 숫자를 측정했더니 현저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결핵균의 항원 85B 단백질을 추가로 접종했더니 균이 완전히 사라졌다. 호로비츠 교수는 “한센병에 대한 효과는 ... ...
암 진단과 치료를 한 번에
2014.08.19
많이 생기게 한 뒤 생쥐의 다리에 이식했다. 이 생쥐에게 ‘구리-64’라는 방사성 물질을
주사
하고 의료 영상기기인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을 이용해 이 물질이 암세포에 모여든 모습을 촬영했다. 그 결과 PET 영상에 암세포의 크기와 위치가 뚜렷이 나타났다. 암세포에 몰려든 구리-64가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인터페론을 비롯해 모든 수단을 동원했는데 자이르 킨샤사에서 급송한 소피의 혈장을
주사
하기도 했다. 공식적인 첫 사망자인 마발로의 아내인 소피는 병에서 살아남았기 때문에 혈액에 에볼라 바이러스 항체가 있을 것이므로 혈장이 치료제 역할을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플랫의 상태는 너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생충이 숙주를 속이는 법
과학동아
l
2014.08.03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개회충(Toxocara canis)이 장식했다.
주사
전자현미경(SEM)으로 확대해 개회충의 모습을 더욱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다. 개회충은 개와 쥐 등 척추동물의 소화기관에 살며 이들이 섭취한 영양소를 훔쳐 먹고 산다. 개회충 같은 기생충은 이렇게 숙주의 몸속에서 ... ...
‘소금 이불’ 덮고 자는 대장균
과학동아
l
2014.07.28
고메즈 스페인 발라돌리드-CSIC대 교수는 대장균이 소금물을 이용해 만든 얇은 필름을
주사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를 ‘우주생물학’지 11일자에 발표했다. 또 연구팀은 대장균이 이 필름 아래서 조용히 수면을 취한다는 것도 알았다. 필름이 대장균의 ‘이불’ 역할을 한 셈이다.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