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개인"(으)로 총 1,44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한국 사회의 혐오에 대하여 2019.09.07
- 나쁜 부품이라고 여겨지는 사람은 가치 없는 존재로 여겨진다. 기본적으로 인권이나 개인의 행복추구권을 중요시하지 않을뿐 아니라 한국 사회는 수직적 서열이 확고한 ‘수직적 집단주의’ 사회다. 이런 사회에서는 사회적 불평등이나 차별을 그닥 나쁜 것으로 보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각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디슨이 4시간만 자도 버틸 수 있었던 이유2019.09.04
- 5시간 수면이면 충분한 유전형을 지녔기 때문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적정 수면시간의 개인차가 꽤 크다는 사실을 몰랐을 에디슨의 눈에 하루 8시간씩 자는 주변 사람들이 게을러 보였을 것이라는 말이다. 에디슨이 남긴 또 다른 말은 그가 수면 자체에 대해 부정적인 관점을 지니지 않았음을 ... ...
- [과학게시판] 컴퓨터그래픽(CG) 채용 캠프 外동아사이언스 l2019.08.27
- 일자리 매칭 행사다. 7월 30일부터 8월 14일까지 참가 신청자를 공개 모집해 신청한 75명 중 개인별 포트폴리오를 고려해 최종 참가자로 60명을 선발했다. 국내에서 크게 흥행했던 영화 ‘신과 함께’의 CG 제작을 담당했던 ‘덱스터 스튜디오’, ‘명량’의 CG를 맡았던 ‘스튜디오 매크로그래프’, 201 ... ...
- [과학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움직이는 기계 특별전' 개최동아사이언스 l2019.08.25
- 기술혁신, 사회공헌 등 3개 부문에서 개인과 단체에 시상한다. 지금까지 총 197개 단체와 개인에게 상을 수여했다. 올해부터는 한국인터넷기업협회,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등 인터넷 관련 대표 단체들이 주관 및 후원 기관으로 참여한다. 공모 참여는 신청서류를 작성해 이메일(internet@kfict.or.kr, ... ...
- [인류와 질병] 투유유의 세 번째 낫2019.08.25
- 10대 공공 보건 성과라고 하며 치켜세웠지만, 그 성취는 중국 인민 전체의 공이었고 개인의 것이 아니었다. 심지어 그녀는 중국과학원 최고과학자(원사)도 되지 못했다. 2011년 미국에서 라스커상을 받고, 이어서 2015년 노벨상을 수상하고 나서야 오랫동안 묻혀 있던 투유유의 공을 인정받을 수 ... ...
- '조국 딸'논문 "단일염기다형성과 뇌질환 관련성 연구"…"기여도·이해수준 파악 관건"동아사이언스 l2019.08.22
- G)나 시토신(C), 티민(T)이 있다. 사람마다 갖고 있는 점돌연변이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개인마다 유전적 다양성이 생긴다. 이것을 단일염기 다형성(SNP)이라고 부른다. 이 때문에 염기가 바뀌어도 유전자 발현 과정에서 원래 만들어져야 할 것과 같은 단백질이 생길 수도 있지만, 전혀 다른 단백질을 ... ...
- [이정아의 미래병원] '게임병'을 다스리는 세 가지 방법동아사이언스 l2019.08.22
- 해서 병이 아닌지 심히 우려하는 부모가 많아지거나, 직장 병가 또는 군 면제 등 개인적인 목적을 위해 게임중독 진단서를 요구하거나 게임방 장기간 사용 영수증을 제출하는 일이 일어날지도 모른다 ... ...
- [과학게시판] STEPI 국문 펠로우십 外동아사이언스 l2019.08.21
- 가을학기 수강생을 모집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학습 내용과 개인별 수준에 따라 ‘파이썬으로 배우는 프로그래밍’ ‘빽투더 한국과학’ 등 총 36개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특히 과학관만의 특화 프로그램으로 과학관 전시물과 연계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교육기간은 9월 21일부터 11월 2 ... ...
- [과학게시판]과학기술인 퇴직자 위한 실버타운 입주자 모집 外동아사이언스 l2019.08.20
-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2019년도 개인정보 비식별 기술 경진대회’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19일 밝혔다. ‘안전한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경진대회는 온라인 사전평가를 통해 9월 7일까지 20개팀을 선발한 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나에게만 초점을 맞추면 우울증에 빠지기 쉽다2019.08.17
- 주로 자신에게서 찾는 경향을 보인다. 실패의 원인을 내 안에서 찾는 등 실패를 ‘개인화’하고 ‘자아의 이슈’로 만드는 정도가 크다보니 실험실에서 한 별 의미 없는 과제에도 기분이 상하고 좌절을 느낀다. 잘 할 수도 못 할 수도 있는 별 의미 없는 과제요 못해도 거기에는 다양한 원인이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