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수귀문도 해결의 열쇠 유전알고리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문제에 유전알고리즘을 적용한다면 시간만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예를 들어 N
개
의 원소를 크기순으로 정렬하는데 유전알고리즘을 사용한다면 바보짓이다. 효율적인 정렬 알고리즘이 널려있기 때문이다.유전알고리즘은 지수귀문도 등 현실적 시간에 쉽게 풀리지 않는 난제를 해결하는데 ... ...
국내 최고 논문왕 자랑하는 수학자 박세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이 두과목은 그가 도맡아 해온 과목이다. 여기에서는 어떤 사고체계에 의해
개
념이 형성됐으며 그 과정에서 어떤 논의가 이뤄졌는지를 학생들에게 전달하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큰 안목을 갖고 자신의 전공분야를 바라볼 수 있게 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최근에도 논문을 계속 ... ...
로봇이 청소해주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로봇 청소기 판매를 시작하면서 미국, 유럽, 일본의 거대 가전사들은 제품
개
발과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세계적인 수준으로 성장한 우리나라 가전사와 기술력을 갖춘 로봇전문 벤처들의 활약은 앞으로 더욱 기대되고 있다 ... ...
러시아 우주비행선은 국제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별자리 천구상(天球上)의 위치는 적경 20h 10m~21h 05m, 적위 +2°~+21°에 연한다3
개
의 4등성과 1
개
의 5등성이 작은 마름모 꼴을 하고 있고 여름철 끝무렵 초저녁에 남쪽 하늘 높이에서 볼 수 있다9월 하순 저녁 8시경에 남중한다삼방정계(三方晶系)에 속하는 광물 고회석(苦灰石) · 백운석(白雲石)이라고도 ... ...
3 침팬지는 인간의 조상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새로운 외부바이러스에 대해 어느 정도 방어 메커니즘을 갖고 있고, 선조의
개
체군 내에서 자연선택에 의해 고정됐을 것이라고 여겨진다.레트로바이러스는 인간 게놈의 1% 이상에서 완전한 구조를 가진 것이 존재하며, 영장류의 진화 과정 동안 다수의 복사본을 만들면서 진화해왔다. 따라서 종마다 ... ...
4 화석연료 대신하는 미래 청정에너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최근 미국의 이라크 공격으로 인한 유가 불안에서 볼 수 있듯 불안정한 석유시장은 에너지의 97%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에 충 ... 보급사업에 손쉽게 활용될 수 있도록 실증연구사업, 성능평가사업의 추진방안과 제도
개
선 사항이 보완됐다. 이를 위한 법률이 2003년 3월에 마련됐다 ... ...
보이는 것이 모두 진짜는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심리적 요인이 작용한다. 즉 대상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이는
개
인의 사고과정과 심리상태에 따라 착시현상이 일어나기도 하는 것이다.우리는 보통 지평선에 가까운 달이 중천에 뜬 달보다 크다고 생각한다. 이 현상을 설명하는 여러가지 가설 중 하나가 바로 착시현상이다. ... ...
생명공학이 주무르는 맛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이런 문제를 방지하는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쓰지 않고 달기만 한 약품이
개
발될 수 있다는 말이다.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요소인 의식주 가운데서, 인간의 건강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은 음식이다. 이 때문에 현대인은 무엇을 입고 어디에 사는지보다 무엇을 먹는지가 중요한 시대에 살고 ... ...
스파이더맨처럼 벽 오를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영화 ‘스파이더맨’의 피터와 ‘매트릭스’의 네오처럼 벽이나 천장 위를 걸어다니는 일이 실제로 가능할지 모른다. 미국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의 로널드 피어링 ... 연구팀의 목표는 이를 이용해 우주선 바깥표면을 걸어다니며 위험요소를검사하는데 쓰일 로봇을
개
발하는 것이다 ... ...
북반구하늘 최고의 구형 별무리 M13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힘을 빌린다면 손쉽게 이 구상성단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구경 2백50mm에서
개개
의 별 확인 가능쌍안경에서 보이는 구상성단 M13의 모습은약간 부풀어오른 별의 모습이다. 다른 별보다 어딘지 모르게 좀 크고 면적을 가진 듯한 모습인데, 경험자는 이것이 별이 아니라는 사실을 잘 안다. 이런 모습이 ... ...
이전
1107
1108
1109
1110
1111
1112
1113
1114
1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