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봄의 대곡선 목동과 처녀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4번째 밝은 0.1등급 별로 8km 떨어진 거리에 있는 촛불의 밝기와 비슷하다. 1년에 약 2초
정도
움직인다. 에드먼드 핼리는 이 별이 그리스 시대의 위치와 약 1도 차이가 나는 것을 알아채고 별의 고유 운동을 발견했다.사냥개자리는 눈에 보이는 별이라곤 2개 밖에 없다. 목동이 데리고 다니는 2마리의 ... ...
만유인력을 처음으로 이해한 한국인 최한기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중국 서적은 먼저 최한기의 손을 거쳤다고 하니, 그의 새로운 학문에 대한 열정이 어느
정도
였는지 짐작할 수 있다. 한 번은 책값이 너무 비싸다고 불평하는 지인에게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책을 지은 사람을 만나기 위해서 천리라도 불구하고 찾아가야 하지만, 지금 이 책으로 나는 아무 수고도 ... ...
고대) 동물사냥 작전회의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기원전 1만 3천년 경의 그림으로 생각된다.이들 그림은 아마도 수세기 동안 셀 수 없을
정도
로 여러번 원래의 그림을 고치거나 새롭게 추가된 결과물일 것이다. 고대인들은 빛이 전혀 들어오지 않는 깊은 동굴 속에서 원시적인 등불을 만들어 이 웅장한 작품을 완성해 나갔다. 왜 그랬을까.동굴 ... ...
중세) 절대불가침의 영역 적십자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다양한 글씨체를 만들어냈을 뿐이었다. 이들이 주로 베낀 책은 성경이나 예배문
정도
였다.일반인에게 글씨가 익숙해진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1445년 경 구텐베르크가 금속활자를 발명한 이래 인쇄술의 발달로 신문이 등장한 18세기에 이르기까지 긴 세월을 지나고 나서야 일반인의 문맹은 ... ...
플레밍 신화의 진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오리무중 상태였음은 말하지 않았다.시간이 지나면서 플레밍에게는 자신도 믿기 어려운
정도
의 갈채와 영예가 이어졌으며 처음에는 쭈뼛거리던 그도 곧 이를 즐기게 됐다. 그는 자신에 관한 신문보도를 스크랩한 노트에 ‘플레밍 신화’라는 제목을 붙였으며, 어떤 기사는 연구실의 게시판에 ... ...
마음의 괴로움이 병을 부른다 '심신의학'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힘들어졌다. 한번은 식당에서 식사를 하다가 피로감 때문에 엎드려서 쉬지 않으면 안될
정도
인 적도 있었다. 성적이 처음으로 중위권으로 떨어지고 체육시간에는 도저히 활동을 못해서 참관수업만 했다. 미열이 가끔 나고 두통이 발생했다. 혈액검사를 비롯한 모든 검사에 정상으로 결과가 나왔기 ... ...
Ⅲ. 에너지와 정보 저장의 보고 박막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로 현재 세계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신용카드의 수는 9억 개
정도
다.쉽게 말해서 스마트 카드는 중앙연산장치와 저장장치가 내장된 카드다. 일반카드가 공중전화 카드처럼 지정된 작동만을 수행하는데 비해, 중앙연상장치가 들어 있는 스마트 카드는 정보를 삭제하거나 ... ...
Y2K 비상계엄 시나리오 5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이틀 동안 통제했다.2월 초 서울대병원의 발표에 따르면 서울대병원 내의 의료장비 중 10%
정도
가 Y2K문제를 안고 있다. 이들은 나이 계산 착오, 성별 착오, 의약품 남용 및 방사선 과다노출, 의약품 보관기간 혼란 등의 문제들을 일으킬 수 있다. 다른 병원에서는 아직 문제조차 파악하지 못한 형편. ... ...
대륙이 움직인다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해양지각을 쟁기질했다면 대륙 자체는 뒤틀리고 말았을 것이다. 또 대륙을 움직일
정도
의 조석력이 있었다면 지구는 1년도 못돼 멈추고 말았을 것이라는 계산결과도 나왔다. 결국 베게너의 이론은 학자들의 논의에서 멀어져갔다.그런데 잠깐 베게너의 이론이 언급된 바 있다. 1928년 영국의 지질학자 ... ...
재미있는 수학의 패러독스들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데는 2천년이 넘게 걸렸다. 아리스토텔레스가 ‘궤변’으로 낙인찍어버린 후로 어느
정도
사장됐던 제논의 패러독스는 칸토르의 무한론으로 극복되기에 이른다.19세기말‘수렴’의 개념이 생기기 전에는 $\underset{n\to \infty }{lim}{\left(\frac{1}{2}\right)}^{n}$ 이 0이라는 것은 이상한 궤변이었을 뿐이었다. ...
이전
1108
1109
1110
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