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20,712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마왕의 탑 9화 불어나는 토끼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사이에 있는 글자는 로그를 이용한 수식이고, log520은 로그 계산법에 따라 20log5이군. 20과 log5를 곱하면 20×0.699니까…, 답은 13.98이야.’단은 촉수 사이에 있는 문제 옆에 13.98을 새겨 넣었다. 앵무조개 안을 메우고 있던 벽들이 아래로 가라앉으며 공간이 뻥 뚫렸다.“이제 빠져나갈 수 있겠어요 ... ...
- [수학동아클리닉] 재구성으로 배우는 원기둥, 원뿔, 구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우리 주변에서 자주 보는 캔음료, 고깔모자, 축구공은 각각 원기둥, 원뿔, 구의 모습입니다. 세 입체도형을 좀 더 의미 있게 가르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원기둥, 원뿔, 구는 회전해서 만들 수 있는 입체도형입니다. 나무젓가락이나 빨대에 직사각형, 직각삼각형, 반원 ... ...
- [Editor’s Note] 사소한 감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어쨌든 사람들은 야쿠르트 먹는다고 하루아침에 변비가 싹 나아버린다거나 아인슈타인이 되리라고는 생각지 않는 것 같다. 그래도 먹는다. 야쿠르트를 먹는 일이 생활이 돼버린 사람들에게 야쿠르트란 결핍 그 자체가 문제일 뿐, 그것의 효능에는 더 이상 관심이 없다.” (김영하, ‘포스트잇’ ... ...
- [과학뉴스] 컴퓨터가 연출한 그림자 연극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사람의 그림자로 다양한 이미지를 창작하는 ‘그림자 연극’의 콘텐츠를 이제 컴퓨터로 만들 수 있게 됐다. 이제희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은 이를 가능케 하는 공간탐색 알고리즘을 개발해 학술지 ‘ACM 트랜젝션즈 온 그래픽스’ 7월 24일자에 발표했다.그림자 연극의 주요 요소는 빛, 스크린, ... ...
- [과학뉴스] 세포 운명 결정짓는 대사물질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복제에 심각한 손상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줄기세포 분화 초기에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의 양을 증가시키면 줄기세포 분화가 지연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는 대사물질의 양적 변화가 줄기세포 분화 상태와 시기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는 뜻이다. 윤 교수는 “대사물질 조절이 ... ...
- [과학뉴스] 동물이 옮긴다고? 사람한테 옮았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메르스, 에볼라 등 바이러스가 맹위를 떨칠 땐 매개하는 동물들도 원망을 산다. 하지만 동물들에게 치명적인 질병을 옮기는 것이 결국 사람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영국 워릭대 미생물 유전체학과 마크 폴른 교수팀은 사바나원숭이에게 있는 식중독균인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이 사 ... ...
- [과학뉴스] 혈중 알코올농도 실시간 나타내는 패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혈중 알코올 농도는 보통 호흡을 통해 측정한다. 채혈을 하는 것이 더 정확하지만 침습적이고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그런데 두 가지의 장점을 결합한 기술이 나왔다.미국 UC샌디에이고 김자영 연구원팀은 피부에 붙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센서(아래 사진)를 개발했 ... ...
- [과학뉴스] ‘만찢’ 오징어, 영국 탐사팀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만화를 찢고 튀어나온 듯한 귀여운 오징어가 발견돼 화제다. 영국 해양탐사연구팀인 E/V 노틸러스는 미국 캘리포니아 연안의 해저를 탐사하던 중 주머니귀오징어(Rossia pacifica )를 발견해 8월 12일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에 영상을 올렸다. 선명한 보라색을 띠는 돔 모양의 몸통에, 튀어나올 듯이 ... ...
- [과학뉴스] 100편의 논문 남기고 떠난 ‘옥토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2013년, 역사상 세 번째로 달에 착륙한 중국의 달 탐사로봇 ‘옥토끼(위투, 아래 사진)’가 972일 세계 최장 탐사 기록을 세우고 활동을 마쳤다. 중국 국가방위과학기술및산업부는 위투가 31개월간의 임무를 마치고 활동을 종료했다고 8월 3일 발표했다.위투는 탐사 기간 동안 7TB(테라바이트) 분량의 데 ... ...
- [과학뉴스] 차갑고 우아하게 태어난 67P 추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이하 추리, 위 사진)의 탄생 비밀이 밝혀졌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뵨 다비드손 박사팀은 추리가 작은 먼지가 차곡차곡 뭉쳐서 우아하게 만들어진 혜성이라고 ‘천문학과 천체물리학’ 7월 28일자에 발표했다.혜성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 ...
이전111111121113111411151116111711181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