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올여름 저녁은 금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지날수록 점차 크기가 커지면서 모양도 반달을 닮아간다. 8월 하순이 되면 금성은 완
전
한 반달 모양이 된다. 그리고 9월이 되면 크기가 점점 커지면서 초승달 모양으로 바뀐다.금성의 모양과 크기는 일정한 규칙을 가지면서 변해간다. 이같은 변화는 7월에서부터 시작해 9월말까지 계속된다. 그러므로 ... ...
곤충세계의 해커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이상 많아 인간에게 더 큰 피해를 입힌다. 연구자들은 여왕개미가 하나뿐인 불개미의 유
전
자를 복수의 여왕개미를 섬기는 집단에 퍼뜨림으로써 불개미 사회의 자멸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바야흐로 인간이 곤충세계의 해커들을 해킹하기 시작한 것이다 ... ...
파키스탄 유령 호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빙하라는 말보다 더 현실과 동떨어져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지금도 끔찍한 가뭄이
전
세계 곳곳에서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메소포타미아와 마야 같은 찬란한 고대문명이 멸망한 것은 장기간 가뭄이 지속됐기 때문이라는 일설도 있다. 수천년 세월이 지난 지금에도 인간은 계속되는 가뭄을 대처할 ... ...
왜 과학자들은 남극을 찾아갈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했으며, 1988년 2월 17일 남극 세종기지를 건설했다.한편 우리나라는 세종기지 건설과 이
전
의 남극연구를 인정받아 1989년 10월 23번째로ATCP 자격을 획득했다. 이는 우리의 남극연구활동을 국제사회에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남극연구의 업적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북한은 우리보다 남극조약에 조금 ... ...
다윈의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바람에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 1828년에는 케임브리지대에 입학해서 신학을 공부했으나 여
전
히 동식물학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 케임브리지대 시절 지질학자 세지윅과 식물학자 헨슬로를 만나 큰 학문적 영향을 받았다. 이들의 추천으로 대학을 졸업하고 비글호 탐사에 합류하면서, 진화론의 ... ...
세계 최초 단원자 트랜지스터 개발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재미 한국 과학자 2명이 세계에서 가장 작은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미국 하버드대 박홍근 교수와 코넬대 박사과정의 박지웅씨는 각각 금속 분자 ... 평가했다.박교수와 박지웅씨는 2년
전
축구공처럼 생긴 탄소 플러렌 분자를 이용한 단
전
자 트랜지스터를 만들어 네이처에 발표하기도 했다 ... ...
화성의 호수와 얼음, 그리고 생명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깊이는 1.1km로 밝혀졌다. 호수 자체는 넘치기 수억년
전
에 이미 형성됐는데, 약 35억년
전
고원의 북쪽면에서 호수면의 고도가 천천히 높아졌다. 결국 물의 무게를 이기지 못한 호수 가장자리는 무너지고 폭포처럼 북쪽으로 물이 넘쳤다. 홍수처럼 거대한 물줄기는 수개월 정도, 적어도 1년 이내에 ... ...
PART4
전
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반도체칩 기술의 핵심은 실리콘 기판에 얼마나 많은 회로를 새길 수 있느냐다. 이 기술은 2010년 이후에는 집적화의 한계에 다다를
전
망이다. 나노기술은 그 한계를 어떻 ... 주도권을 쥐게 되기 때문이다. 나노
전
자소자의 실용화 시기가 생각보다 빨라질 수 있다는
전
망도 여기서 비롯된다 ... ...
디지털캠코더와 함께 나도 이제 영화감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최근 선명한 화면과 깨끗한 음질을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캠코더가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으면서 가정의 필수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디지털캠코 ... 지나치게 작아지면 오히려 조작성은 떨어지므로 대략 한손에 들어오는 정도까지 발
전
할
전
망이다. 반대로 화소수는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항체)을 개발한다. 최종적으로 가장 자극을 많이 받은 로봇의 행동
전
략이 시스템
전
체의
전
략으로 결정된다. 이 방법은 아직 구체적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라 개념 수준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그 응용가능성 만큼은 무궁무진해 보인다.생명이란 무엇인가?인공생명 로봇은 아직 그 구체적 성과물이 ... ...
이전
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1117
1118
1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