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d라이브러리
"
결합
"(으)로 총 3,591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이지 않는 위험에서 살아남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중요하다는 얘기지. 플루오린화 수소는 강으로 흘러들어도 모래의 규산이나 강의 칼슘과
결합
해 안정화된단다. 생물농축을 일으킨다는 얘기는 오해야.섭섭박사가 알려주는 특별 살아남기 비법자, 그럼 유해화학물질 현장에서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살아남기 비법을 알아볼까? 서두르지 않으 면 ... ...
바이러스로 암 잡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miR-17’이 분해되지 않는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이 특정 유전자 부위가 상보적인
결합
을 통해 마이크로RNA를 분해하는 것이다.안 교수는 “이번 연구는 체내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독성이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분해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라며 ... ...
살충제 잘못 쓰면 사람도 쓰러진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좋지 않다.인체로 들어온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는 말초신경 세포막의 나트륨 통로에 잘
결합
한다. 나트륨 통로는 신경세포 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전기신호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퍼메트린 같은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는 신경 세포막의 나트륨 투과성을 높여 신경을 과도하게 흥분시킨다. ... ...
향 분자에 날개를 달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화학구조를 살펴보면 인산기를 가지고 있는 부분은 물과 친하고(친수성), 지방산이
결합
되어 있는 부분은 기름과 친하거든요(친유성). 그래서 물과 기름이 섞인 용액에 레시틴을 넣으면 기름방울을 둘러싸 물 속 여기저기에 퍼지게 해요.거품소스를 만들 때에도 유화제를 넣어요. 물과 친하지 않은 ... ...
투명한 뇌, 우울증 신경을 찾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지방만 빼내는 원리다.먼저 저온(4℃)에서 투명한 하이드로겔을 뇌에 주입해 단백질과
결합
시킨다. 3일 후 체온(37℃) 정도로 온도를 올리면 하이드로겔이 굳어서 단단해진다. 며칠 더 지난 후 전류를 흘려 지방질을 녹여 낸다. 남아있는 하이드로겔이 단백질, 즉 신경섬유의 모양을 92%이상 유지한다 ... ...
유해화학물질 누출 현장에서 살아남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중요하다는 얘기지. 플루오린화 수소는 강으로 흘러들어도 모래의 규산이나 강의 칼슘과
결합
해 안정화된단다. 물고기와 같은 생물이 흡수한다 해도 오줌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생물의 몸에 쌓인다는 얘기는 오해야.살아남기 STEP 3섭섭박사가 알려 주는 특별 살아남기 비법자, 그럼 유해화학물질 ...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암석의 녹는점을 낮추는 바람에 마그마가 생긴다. 물이 끼어 들어가면서 암석의
결합
력이 약화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생긴 마그마는 지표면으로 분출하면서 화산을 만든다.처음엔 바다 속에서 분화해 해저 화산을 만든다. 시간이 지나 화산체가 커지고 물 밖으로 나오면 섬이 된다. 보통 해구를 따라 ... ...
왜 황우석은 실패하고 미탈리포프는 성공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오리건 보건과학대 교수팀은 사람의 피부세포(체세포)를 기증받은 난자(생식세포)와
결합
해 배아줄기세포를 만들었다. 이 배아줄기세포는 원래의 피부세포 유전자와 똑같다.배아줄기세포는 수정란이 분열하면서 만들어지는 가장 초기의 줄기세포로 근육이나 신경세포 등 몸을 이루는 어떤 ... ...
내성균 리턴즈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외벽이
결합
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항생제다(56쪽 그림). VRE와 VRSA는 반코마이신이
결합
하는 아미노산의 종류를 바꿔서 이 과정을 방해한다.또다른 베타락탐계 항생제 ‘카바페넴’은 여러 종류의 미생물을 막는 만능 항생제였다. 특히 3세대 항생제가 듣지 않는 경우에 유용했다. 그런데 최근 몇 년 ... ...
정보를 한눈에! 인포그래픽의 세계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그래프의 아버지로 불리는 영국의 윌리엄 플레이페어가 막대그래프와 꺾은선그래프를
결합
한 그래프를 처음으로 선보였어요. 경제 활동의 움직임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두 그래프를 혼합한 거였죠. 19세기에 접어들면서 인포그래픽은 크게 발전해요. 독일의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가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