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능력"(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왜?”라고 질문하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교육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성적이 B0 이상이면 지급하는 전액 장학금이나, 학생 수용능력이 학생 수보다 더 많은 기숙사 등 학생들이 공부와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환경을 갖췄다. 김 입학학생처장은 “POSTECH은 학부생을 300여 명 선발하고 대학원생은 그 두 배인 600여 명을 선발한다”며 ... ...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만들어 바이러스 증식 원천봉쇄유전적인 측면에서 가축은 질병에 따라 저항하는 능력이 다르다. 특정 바이러스에 취약하거나 강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한 개체가 가진 ‘저항 유전자’를 다른 개체에 삽입해 바이러스 저항성을 키우는 방식도 가능하다. 유전적으로 바이러스에 잘 감염되지 않기 ... ...
- 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직관력이 있어야 합니다. 수학적 사고는 필수고요. 여러분은 어떤가요? 자신의 숨은 능력이 궁금하다면 다음 문제를 풀어보세요! 제2의 튜링이 당신일 수 있습니다. 영국 맨체스터대학교 수학과는 매년 중학생을 대상으로 ‘앨런 튜링 암호 해독 경진대회’를 열어 숨은 암호 인재를 찾고 있습니다. ... ...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회복탄력성은 큰 갈등을 마주했을 때 느끼는 우울한 감정을 잘 견디고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어지는 심리 검사에서는 그림을 이용해 심리 상태를 확인했다. 심리검사는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만큼 자세한 내용은 공개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3시간의 검사 끝에 기자는 다행히 ... ...
- 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360개의 색과 함께 자외선, 적외선까지 소리로 들을 수 있게 됐답니다. 하비슨은 이런 능력을 활용해 유명인의 연설이나 노래를 색으로 표현하기 시작했고, 이를 미술 작품으로 만드는 작업을 하기도 했지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사람이야? 로봇이야? 호모 사이보그Part 1. 호모 ... ...
- [과학뉴스] 머릿속에 이미지 떠오르는 시가 아름답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상관이 없었다. 에드와르드 베셀 연구원은 “시각적인 이미지가 시의 의미를 전달하는 능력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학과 창의성, 예술의 심리학’ 2017년 11월 30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37/aca000015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수학 법칙을 통해 작동하는 기구다. 인간에게는 새의 모든 움직임을 갖춘 기계를 만들 능력이 있다.” 레오나르도는 항상 노트를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바로 메모하는 습관이 있었다고 한다. 덕분에 그의 코덱스는 일부가 소실되고도 현재 6000여 쪽이 전해진다. 그중 상당 ...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무게 40kg인 바벨을 거뜬히 들어올리고, 20kg이 넘는 포탄을 안전함까지 운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 연구팀은 2018년 4월 이 로봇팔이 달린 ‘굴삭기 로봇’을 내놓을 예정이다. 조 선임연구원은 정교한 로봇손도 개발 중이다. 기존의 유압식 로봇팔에서 손목 부위는 180도로 움직이는 사람 손목과 ... ...
- [인터뷰] KAIST 입학처장 신하용, 기본기 갖춘 ‘능력자’가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KAIST는 1971년 과학기술인재 육성을 위해 설립된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이다. 그렇기 때문에 원하는 인재도 일반 대학과는 다르다. 신하용 KAIST 입학처장(산업 ... 생각으로 인문학을 포함해 여러 분야에서 기초 실력을 기른 뒤 여러 사람과 대화하는 능력을 키워나가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 ...
- [과학뉴스] 초소형 벌 로봇, 진짜 벌처럼 윙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사람의 뇌처럼 적은 에너지로 수많은 정보를 처리할 수 있지요. 또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이 있어서 다양한 비행 상황을 자율적으로 익힐 수 있어요. 날개의 금속 탐침 덕분에 바람을 감지하며 비행할 수도 있고, 흔들리는 꽃의 경로를 예상해서 착륙할 수도 있지요. 로보비가 최종 목표대로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