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형"(으)로 총 1,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패스파인더의 화성탐사 상상도과학동아 l1996년 11호
- 동반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동물중에서는 이런 음을 들을 수 있는 것이 적지 않다도형 입체 음성 등을 인식해 읽어들이는 것 문자나 숫자의 인식보다 한결 어렵다 패턴인식을 위해서는 극히 다량의 정보를 순간적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 로봇의 시각장치와 음성인식 타자기에 일부 실용화가 ... ...
- 1. 기억도 여러가지과학동아 l1996년 11호
- 두줄의 싯구를 즉시 반복하기), 숫자 따라 말하기(digit span), 시각 재생 능력(기하학적 도형을 즉시 기억하여 그리기), 짝짓기 연상 학습 검사(10개의 단어 쌍을 외우되, 첫 단어를 들려주면 다음 단어를 댐) 등의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검사는 보통 지능검사에서 측정되는 지능지수(IQ)와 ... ...
- 5. 기억력 높이는 필기법, 마인드맵과학동아 l1996년 11호
- 맺도록 한다.이런 방식으로 20개 정도만 그려 보면 자신감을 갖게 될 것이다. 색이나 도형을 예쁘게 그리려는 멋부리기는 그 다음에 할 일이다.마인드 맵은 노트 정리에만 활용되는 것이 아니다. 스스로 사고의 다양성과 논리성을 깨치고 싶은 사람은 마인드 맵을 이용해 효과를 볼 수 있다. 자신이 ... ...
- 꼬마자동차 소저너과학동아 l1996년 11호
- 바꾸어서 컴퓨터에 기억시켜 놓고, 그 데이터의 일부를 변경시킴으로써 원하는 도형으로 만드는 것민물·습지 등 어디에나 분포하는 지름 10μ 이하의 타원형 녹색 단세포 조류(藻類)로 광합성능력이 뛰어나고, 증식력이 하루 10배에 달한다 미래의 단백질원으로 중시되고 있다중생대 기를 셋으로 ... ...
- 타이태닉호 선체 인양 실패과학동아 l1996년 10호
- 형태를 이루고 있다따라서 극대기의 코로나를 극형 코로나, 극소기의 코로나를 적도형(赤道型) 코로나로 구별한다 진행성 근위축증의 한 형태 척수성(脊髓性) 진행성 근위축증과 함께 척수중에 있는 운동계 신경섬유 및 세포의 진행성 변성(進行性變性)에 의해 나타난다뇌피질(뇌피질)에서 근육에 ... ...
- 교육용 공개 프로그램 세계수준 아직 낮아과학동아 l1996년 09호
- 도형 아이콘을 누르면 도형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 하나로 숫자, 알파벳, 도형에 대한 인지 학습을 할 수 있는 것이다.이 프로그램의 아이디어는 어린이용 학습지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종이에 비해 프로그램이 더 좋은 점은 다양한 밑그림을 제공하며 나중에 추가할 수도 있다는 것. 또 ... ...
- 1. 피라미드가 에너지를 모은다과학동아 l1996년 09호
- 있는 파장과 상호작용한다. 이런 생각을 받아들인다면 우리가 무심히 그리는 점이나 선, 도형에도 나름대로의 에너지 파장이 만들어져 우주 공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종이 위에 그려지는 평면적인 형태를 통틀어 ‘문양’ 이라고 부른다. 문양 중에서 전통적으로 오랫동안 사용되던 ... ...
- KAIST 송태호교수가 최초로 밝힌 얼음골의 비밀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송태호교수(KAIST 기계과)는 지난 94년 8월 영국의 브라이턴에서 열렸던 제 10회 국제열전달학회에서 현장 연구를 기반으로 한 '얼음골의 현상 분석(Numerical simulation of seaonal convection in an inclined talus)'이라는 논문을 발표해 해당분야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송교수는 이 얼음골의 생성 원리를 ...
- 유아·아동기 두뇌개발교구, 품질보다 활용이 중요과학동아 l1996년 05호
- 등을 기름으로써 좌우뇌의 균형된 개발을 목표로 삼고 있다. 한 예를 들면, 좌우대칭 입체도형이란 교구는 전체적인 구조물에 대한 이해와 집중활동, 그리고 구조에 대한 상상활동을 유도해 우뇌의 활동을 돕는다.과학탐구완구 물리학 분야의 교수와 과학교사들이 만든 교구다. 관찰과 조작놀이 ... ...
- 3. 풀어 쓴 디지털사과학동아 l1996년 04호
- 주렴계보다 무려 388년이나 앞서 있는 것이다. 또한 최근 가야지방에서 발굴된 청동 태극 도형은 중국의 영향을 받지 않은 우리 민족 고유의 상징이다. 설령 중국 것이라 해도 중국이나 다른 동양 국가에서 태극을 국기로 내세우지 않았다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이문호 · 전북대 정보통신학과 교수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