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d라이브러리
"
두께
"(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Ⅲ. 에너지와 정보 저장의 보고 박막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사용하는 동일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상 특별한 어려움은 없다. 또한 층의
두께
를 최소화함으로써 전해질의 내부저항을 감소시켜 전지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현재 사용되는 박막 전지가 모두 1차전지(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전지)라는 단점이 있지만 앞으로 2차전지 ... ...
새로운 시력교정술 인택트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눈을 뜨면 더듬더듬 안경을 찾는 근시들에게 희소식이 있다. 최근 미국에서 콘택트 렌즈
두께
의 작고 투명한 고리를 각막에 이식하는 방법이 개발돼 기존 근시 교정수술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케라비전사에서 개발한 ‘인택트’ 시술의 최대 장점은 가역적이라는 점. 수술 후 결과가 좋지 ... ...
스스로 자라는 똑똑한 플라스틱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린다 첸은 ‘사이언스’ 최신호에서 이 같은 소재를 개발해 발표했다. 이 물질의
두께
는 머리카락보다도 가는 30㎛(1㎛=${10}^{-6}$m), 면적은 손톱크기인 1cm². ‘광자결정체’(photonic crystal)라고 불리는 이 구조를 현미경으로 보면 벌집처럼 속이 빈 공이 차곡차곡 쌓여 있는 형태. 중합체 분자가 ... ...
별무리 보석상자 산개성단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만약 우리은하를 지름 12cm의 CD 크기로 축소한다면 산개성단들은 지름 1mm 정도인 CD
두께
에 해당하는 얇은 공간에 모두 모여있는 것과 같다.일반적으로 산개성단의 지름은 대략 수십광년 정도이고 성단을 이루는 별의 수는 다양하다. 예를 들어 M18(궁수자리 산개성단) 같은 경우 12개 정도이지만, M11 ... ...
전자잉크, 전자책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신기술을 선보였다.이 기술에서는 눈으로 보기에도 어려울 정도로 아주 작은 머리카락
두께
의 캡슐에 들어있는 염료를 이용한다. 검정색 염료와 흰색 입자들로 가득 채워진 많은 캡슐을 미립자삽입기술(Microencapsulation)을 이용해 종이나 인쇄물에 심는다. 그리고 이 물질에 전기를 통하면 전하를 띠고 ... ...
물리학의 한계에 도전하는 반도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볼만한 틈새들이 많다고 한다. 즉 고체와 기체 사이의 물리화학적 현상을 이용해 수 nm
두께
의 박막을 균일하게 입힌 절연막, 정밀한 금속재료를 개발하는 일이다.일례로 1997년 미국 IBM사가 개발한 구리칩을 들 수 있다. 이것은 반도체 회로에 알루미늄 대신 구리를 사용한 것으로 정보처리속도를 ... ...
꿈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디스플레이인 셈이다. 현재 40인치 정도의 플라스마 디스플레이가 상품화돼 있는데, 그
두께
는 고작 10cm 정도밖에 안된다.최근에는 첨단기술을 응용한 획기적인 기능의 디스플레이들이 개발되면서 미래의 영상문화를 바꿔놓을 전망이다. 그중 가까운 변화로 영화관의 영사기가 퇴출될 가능성이 ... ...
나만의 비밀번호 생체인식시스템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개인마다 독특한 특징이 있음을 확인하면서 주목받았다. 위와 옆에서 본 손가락의 길이,
두께
의 정보양이 10바이트 정도로 매우 작아서 제품화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손에 이물질이 묻는것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아 디즈니월드와 같은 야외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실제로 ... ...
2. 호주머니 속의 발전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동일한 기술을 쓸 수 있다는 점과 층의
두께
를 최소화함으로써 전해질의 내부 저항을 감소시켜 전지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992년 미국의 에버레디 배터리사에서 리튬박막전지를 개발해 보고한 이래로 선진 각국의 대학, 연구소, ... ...
보이는 빛 보이지 않는 빛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나타나는 것이다. 젖은 땅 위에 기름이 떠 있을 때 보이는 아름다운 색깔들은 얇은 막의
두께
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색깔들은 미세한 표면의 굴곡을 보여준다.수영복 침투하는 적외선 투시 카메라사람이 이 세상의 모든 아름다운 현상을 볼 수 있는 것 같아도 실제로는 볼 수 없는 세상이 더 많다.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