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본
근원
기원
원천
기초
시초
씨앗
d라이브러리
"
뿌리
"(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경오(庚午)년을 달리는 에쿠우스 말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충렬왕 2년에 몽고말 1백60마리를 들여와 한라산 기슭에 방목한 것이 제주 명물 조랑말의
뿌리
다.이때부터 제주도에는 마장(馬場)이 설치돼 한때는 그 수가 3만여마리를 헤아릴 정도가 되었다. '사람은 낳으면 한성(서울)으로 보내고 말은 제주도로 보내야 한다'는 속담은 이런 배경을 통해 나왔을 ... ...
연구실에서 기술정보를 찾아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그러므로 전산기술자들은 도서관학이나 정보관리학이 추구해온 학문적 성과와 전통의
뿌리
가 깊어 일시에 개선키 어렵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해야 하고, 사서들은 컴퓨터의 혁신적 수용이 기존의 수작업시스템을 어떻게 개선시켜 줄 것인가에 대한 예측에 더욱 큰 노력을 경주해 주어야만 하리라고 ... ...
인류 최대의 문화유산 앙코르와트사원을 구하자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햇볕, 폭우로 사원의 피해는 가중되었으며 사람이 가꾸지 않는 사이 식물들이 돌틈에
뿌리
를 내렸고 각종 세균이 번식했다. 물론 사원주변에 무성해진 식물들은 햇볕을 가리고 폭우의 피해를 줄이는 등 긍정적인 역할도 했다. 복원에 국제적 노력베트남군에 의해 '크메르 루지'가 쫓겨나고 '훈 센 ... ...
만주지역의 발해유적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대조영이 고구려사람이고 발해문화는 고구려문화를 계승한 것이라고 기술했다.원래의
뿌리
가 감추어지고 그위에 다른 싹이 튼 것은 시공의 단절 때문만이었을가.민족사의 초기무대가 되었던 중국동북지방(만주지역)을 최근에 둘러보고 온 뜻있는 우리 동포들은 약 반세기 동안에 변한 이런 상황을 ... ...
거친 환경에 적응한 4백여종 한국의 고산식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형태적 조직적 적응현상을 갖게 된다. 즉 나무든 풀이든 키가 작고, 지상부에 비하여
뿌리
등의 지하부가 깊고 길게 뻗는다. 특히 나무는 관목 상태로 지표변에 누어자라며 많은 잔가지가 발달한다. 잎은 단단하나 책상조직이 잘 발달되어 광합성을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식물을 ... ...
청동기 기술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넓은, 즉 옛 고구려 영토였던 중국 동북지방을 포함하는 땅이다. ●- 중국과는 다른
뿌리
그리고 또 하나 분명한 것은 이 청동기기술이 중국의 청동기기술과는 이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가령 흘러 들어왔다고 하더라도 중국 이외의 다른 곳에서 온것이 거의 확실하다. 그 합금성분으로 ... ...
대학이냐? 학과냐? "비인기학과에 도전하세요"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융통성이 커지거든요. 공부를 해 갈수록 이 융통성이 대단한 무기임을 실감하게 됩니다.
뿌리
가 생기거든요.김창-저는 기초과학 관련학과나 기초기술관련학과(공대계통의 기초학과)가 앞으로 유망할 것으로 생각해요. 정부의 과학정책이 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잖아요. 계획대로 기초과학에 ... ...
과학기술대 첫 졸업생들의 얘기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김─저는 서클활동을 통해 학생들과 교류를 많이 가졌던 편입니다. 역사연구서클인 '
뿌리
'에서 많은 이야기를 했지요. 또한 '둘리'라는 농구서클을 만들어 교외로 원정경기를 다니기도 했습니다.정─저희가 처음 입학했을 때는 사회과학서클이라고는 눈을 씻고 봐도 찾을 수 없었습니다. 87년도에 ... ...
잊혀져 가는 옛조상의 땅 중국동북지방의 고구려 유적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부여, 고구려, 발해가 일어나고 스러져갔던 민족사의 요람이었다.그만큼 우리 민족사의
뿌리
와 깊게 연계되어 있다.그런 땅이 지금은 남의 땅이 되어 있다. 가는 곳마다 이름도 낯설지 않은데 주인이 바뀌었고 그 역사는 굴절되어 있다.중국의 여러가지 기록은 고구려 발해 등을 중국역사상의 한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산등성이에는 회백색 백색 미황색 및 회흑색 등의 둥글둥글한 부석(浮石)들이 널려 발
뿌리
에 채인다. 이들 부석들은 가스가 많고 폭발력이 큰 화산에서 볼 수 있는데, 화산분출의 마지막 시기에 나타나는 화산재들이 뭉쳐져서 백두산 주변 지대를 덮은 것이다. 이 암석은 밀집한 기공으로 이루어져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