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지"(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3차원 모형으로 밝힌 돌연변이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잘 알려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종양과 유전자의 관계가 속 시원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최근 미국 하버드대 수학과 마틴 노박 교수팀이 종양 구조를 3차원으로 분석함과 동시에 유전적인 변화까지 설명할 수 있는 수학 모형을 ‘네이처’ 8월 26일자에 발표했습니다.종양 ...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있다”고 말했어요.하지만 아직 이 기술을 이용해서 어떤 약골 유전자를 없앨지는 정해지지 않았어요. 앞으로 전세계 바나나 연구자들을 모아 함께 찾아나갈 계획이랍니다.다행이야! 희망이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몸이 갑자기 나아진 느낌이 들어! 우리가 멸종 한다면 친구들도 더 ... ...
- [knowledge] 자연의 합리성을 사랑한 건축가, 가우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기존의 바로셀로나 구도심은 도로 폭이 평균 4m에 불과했다. 채광과 환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도로에 습기와 악취가 가득했다. 에이샴플라 지구는 블록 주변 도로의 폭을 20m로 넓혔다. 또 블록 안쪽에 폭이 70m에 이르는 넓은 파티오(el patio, 안뜰)를 설계해 채광과 환기가 가능하도록 했다. 블록의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연대는 43만 년 전이었다. 하지만 날레디의 경우 아직 정확한 화석 연대조차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상태기 때문에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고인류학자들은 새로운 화석이 나올 때마다 새 종으로 이름 붙이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다. 더구나 아직은 연구 초창기기 때문에, 날레디에 대한 평가도 ... ...
- 꿀벌이 새 집을 찾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수가 충분하면 두 후보지 모두 새 집으로 결정돼요. 그러면 꿀벌 무리들은 각각 자신이 지지한 새 집 후보로 이사를 시작하지요. 무리가 둘로 나뉘어 두 개의 새 집이 생기는 거예요.하지만 꿀벌들은 얼마 못가 공중에서 우왕좌왕하다 멈춰 버려요. 새 집에 여왕벌이 없기 때문이에요. 꿀벌들은 ... ...
- 화성에서 살아남아라, 반드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방법으로 지구에 있는 사람들에게 말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구에서는 오로지 카메라 지지대를 회전시키는 것만 가능했다.와트니가 생각한 대안은 바로 문자를 숫자로 나타내는 것이다. ‘아스키 코드’가 대표적인 예다. 아스키 코드는 0부터 9까지의 숫자와 대소문자 알파벳, 특수문자, ... ...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확인한 다카하시 교수팀의 논문은 어쩌면 사람이 근본적으로 악하다는 ‘성악설’을 지지하는 근거가 될지도 모른다. 다양한 후속 연구가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미국 하버드대 심리학과 미나 시카라 교수는 지인이 안 좋은 일을 당했을 때, 평소 그에 대해 느꼈던 부러움이 클수록 기쁨에 ... ...
- [이달의 사물] 천일염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이동했습니다. 사실 세균 위험성도 천일염의 다른 논쟁거리처럼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천일염의 안전성을 연구한 논문의 상당수가 안전하다는 쪽으로 기울어 있고요. 하지만 먹을거리다보니 불안한 마음을 달래긴 쉽지 않네요. 천일염, 먹어야 할까요, 말아야 할까요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다.제품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뤄져 있다. 지지 기반이 되는 기둥이 있고, 그 위에 점점 지름이 커지는 원형기둥이 올려져 있다. 이 기둥은 유리섬유와 탄소섬유로 만들어져 매우 가볍기 때문에 바람이 기둥을 감싸올라오며 공기 소용돌이를 만들 때 쉽게 ...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복합조직인 팔을 이식하면 예상보다 면역거부반응이 적을 거라는 의미였다.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서로 다른 조직에서 온 항원이 서로 경쟁하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고, 너무 강력한 여러 항원이 한번에 쏟아져 수용자의 면역체계가 압도됐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 또 항체 생산이 증가돼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