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실리는 탑재물) 분리장치, 카메라, 간단한 기상 실험 장치를 싣고 있어 무게는 총 21kg이다. 이름은 ‘스누볼(SNUBall)’이라고 붙였다. 과학기구로는 국내에서는 처음 띄우는 것이라 더욱 긴장됐다. 발사팀이 공장 벽을 바람막이 삼아 발사 준비를 시작했다. 갑작스런 돌풍으로 벌룬이 찢어지진 않을까 ... ...
- [Issue] 라이징 스타에서 스테디셀러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000명의 석사학위 졸업자와 6만5000명의 박사학위 인력을 배출했다. 중국과 학원에 소속된 총 116개 연구소 인력은 무려 6만7900명에 이르며, 이중 연구 인력만 5만6000명이다. 국내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속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전체 인력이 비정규직을 포함해 1만9000여 명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내부에서 정해진 것이 아니라 환경에 따라 달라집니다. 6개의 비장이 이식되면 몸에 총 6개의 작은 비장이 이식됐다는 사실을 비장 하나하나가 인지하고, 모두 합쳐 하나의 비장을 만들기 위해 6분의 1 크기로 자랍니다. 흉선처럼 장기의 크기가 고유한 값으로 정해지는 사례를 하나 더 ... ...
- [인터뷰] 연세대 입학처장 엄태호 “다양한 인재에게 고른 기회 준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연세대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학이다. 2018학년도 연세대 수시모집 경쟁률은 19.94대 1(총 모집인원 2614명, 지원인원 5만2134명)이었고, 정시모집 경쟁률은 5.33대 1(총 모집인원 1313명, 지원인원 7003명)이었다. 엄태호 입학처장(행정학과 교수)에게 연세대 입학을 꿈꾸는 학생들을 위한 조언을 들어봤다 ... ...
- 누구나 쉽게 상상을 현실로, 한캐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있는 창이 있는데, 필요한 입체도형을 클릭하면 주요 화면에 도형이 나타난다. 총 110가지 입체도형을 더하고, 빼고, 자르며 다양하게 조작해 상상한 물체를 만들 수 있다. 한캐드를 개발한 박강수 로이비즈 이사는 “어릴 때 육면체, 삼각뿔, 구 같은 입체도형으로 이뤄져 있는 레고로 자동차 같은 ... ...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HMD와 장갑, 조끼, 총 등에 달린 센서의 위치좌표를 가상세계 속 캐릭터의 머리, 손, 몸통, 총의 위치좌표와 실시간으로 일대일대응시킨다는 뜻이에요. 이런 기술을 ‘모션 트래킹’이라고 불러요. 예를 들면 센서가 달린 장갑을 끼고 손을 움직이면 센서의 위치가 바뀌고, 컴퓨터가 위치 변화를 ... ...
- ASMR 효과, 직접 실험해 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1분 정도 화면에 아무것도 나오지 않다가, 다음 자극 영상이 랜덤하게 재생된다. 이렇게 총 10번의 자극을 반복하고 휴식 시간을 가진 뒤 10번의 자극을 또 반복한다. 한두 차례 테스트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김래현 KIST 바이오닉스연구단 책임연구원팀은 이 실험을 ...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있지만 생산량은 낮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2016년 조사에 따르면 북한은 총 면적 320km²에서 연간 43만6000톤(t)의 고구마를 생산한다. 고구마는 위도가 높을수록 생산량이 증가해 북한이 남한보다 재배에 유리하다. 1990년대의 남한이 1만m²의 토양에서 22t의 고구마를 수확했지만, 북한은 ... ...
- Part 3. 냠냠~ 미세먼지 잡아먹는 건물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진행 중이에요. 그는 이탈리아 밀라노 지역에 116m와 85m짜리 쌍둥이 건물을 짓고 여기에 총 700그루의 나무와 2만 개의 각종 식물들을 심었답니다. 식물이 놓인 위치와 높이에 따라 햇볕을 쬐는 시간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이에 맞춰서 식물이 배치되었지요. 이 건물은 미세먼지를 잡을 뿐만 아니라 ... ...
- Part 3. 소똥구리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모두 같은 종인 것으로 나타났지요. 이후 연구팀은 몽골 초원을 누비며 소똥구리를 찾고, 총 다섯 차례에 걸쳐 460마리의 소똥구리를 들여와 경기도 덕소에 있는 농장에서 길렀어요. 이 중 64마리가 살아남았고, 짝짓기에 성공해 알을 낳았지요. 이번에 몽골에서 데려오는 소똥구리도 역시 비슷한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