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뉴스
"
인공
"(으)로 총 7,39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이종호 장관, 영국과학혁신기술부 장관 면담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개최 예정인 협의체의 준비 현황을 공유하고 개최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양국은 올해
인공
지능(AI) 분야 협력을 위한 '제2차 AI 안전성 정상회의', ICT 분야 협력을 위한 '제1차 한영 디지털파트너십 포럼' 및 과학기술 분야 협력을 위한 '제1차 과학기술 혼성위원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공통 ... ...
AI 설계 단백질이 생물학 무기?…과학자들 첫 '오용 방지 협약'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데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임으로써 암세포나 독감 바이러스 등에 맞서 싸울 수 있는
인공
단백질을 쉽게 만들 수 있다. 구글 딥마인드는 2019년 단백질 구조 예측 AI인 ‘알파폴드’를 개발해 학계를 놀라게 했다. 이어 2021년 베이커 교수가 당시 박사후연구원이었던 백민경 교수 등과 함께 정확도가 ... ...
[인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ICT전략연구소 기술전략연구센터장 정지형 △슈퍼컴퓨팅시스템연구실장 안신영 △
인공
지능컴퓨팅연구소 양자컴퓨팅연구실장 황용수 △입체통신연구소 지능무선액세스연구실장 배정숙 △입체통신연구소 전파원천기술연구실 김상원 △디지털융합연구소 휴먼증강연구실장 신형철 ... ...
[인사] 광주과학기술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광주과학기술원 △R&D조정실 실장 이창열 △
인공
지능연구소 소장 안창욱 △에너지융합대학원 원장 김윤수 ...
임신부 양수에서 태아 줄기세포 얻어 장기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연구는 그동안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인체의 장기를 모사해
인공
적으로 만드는 ‘
인공
장기(오가노이드)’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이론적으로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인간 배아줄기세포나 유도만능줄기세포(iPS)를 이용해 원하는 오가노이드를 얻는다. 문제는 배아줄기세포나 iPS는 ... ...
얼음 뿌리고 차단막 설치하고...지구 식히는 공학 아이디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이밖에 바닷물을 이용해 해양 위에
인공
구름을 만들어 태양 빛을 반사하는 아이디어, 우주에 거대한 거울을 설치해 햇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것을 막고 햇빛을 우주로 반사해 지구의 온도를 낮추자는 계획 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온다. 효과가 기대되지만 지구공학적인 ... ...
영하 40도 견디는 현실판 '매머드' 나올까…코끼리 줄기세포 제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07
여러 유전자를 아시아코끼리 난자에 주입해 유전자를 교정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배아를
인공
자궁에서 자라게 해 세상에 나오게 한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연구를 위한 코끼리 세포를 무한정 공급받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코끼리의 여러 신체 조직으로 발현할 수 있는 ... ...
타인 성체줄기세포로 만든 3D프린팅 '
인공
기관' 이식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07
최초의
인공
인체 장기 이식 임상시험 성공 사례”라며 “환자 맞춤형 3D 바이오프린팅
인공
장기 이식 실용화 기술 발전에 토대를 이루고 각종 난치성 질환에 대한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과정에도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오가노이드에서 배양한 줄기세포로 장 조직 재생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07
연구진. 샘명연 제공 국내 연구진이 재생치료 등에서 수요가 높은 고순도의 줄기세포를
인공
장기인 오가노이드에서 대량으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손미영 줄기세포융합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인간 장 오가노이드에서 장 줄기세포를 농축 배양하는 기술을 ... ...
AI 거대언어모델 0.4초만에 처리…삼성 28나노공정으로 초저전력 AI반도체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06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영수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이번 연구성과는
인공
지능반도체가 NPU와 PIM을 넘어 뉴로모픽 컴퓨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실제로 확인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며 “이러한 세계적인 연구성과를 지속적으로 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