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너비
넓이
나비
가로
면적
더위
폭염
뉴스
"
폭
"(으)로 총 1,393건 검색되었습니다.
DNA가 빛나는 밤
과학동아
l
2016.08.07
제공 빈센트 반 고흐의 명작 ‘별이 빛나는 밤’이 DNA 종이접기(origami)로 다시 태어났다.
폭
이 176μm, 높이가 77μm인 이 작품에서 붉게 빛나는 부분에는 전부 접힌 DNA가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연구팀은 DNA 총 6만5536개를 접어 반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을 완성했다고 밝혔다. DNA ... ...
모 아니면 도! 사랑앵무는 딱 두 가지 속도로만 난다!
2016.07.21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어떠한 장애물도 없을 때에는 장거리를 빠른 속도로 비행했지만,
폭
이 좁아지는 곳에 다다랐을 때는 터널의 특정 지점에서 갑자기 속도를 확 줄여 천천히 비행했습니다. Jim Bendon(W) 제공 바로 고속 모드에서 저속 모드로 서서히 속도를 줄이는 대신 거의 즉시 모드를 변경한 ... ...
[궁금한 이슈 why] 이름도 들어본 적 없는 ARM이란 회사가 35조원이라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6.07.19
끈 이유입니다. 실제로 ARM의 매출은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보급되는 2010년을 전후해 큰
폭
으로 늘어납니다. 2010년 6억 3130만 달러였던 매출이 2015년에는 2배가 넘는 14억 8860만 달러로 커졌습니다. 반면 PC 반도체 시장을 지배하던 인텔은 모바일 시대에 들어서 고전했습니다. 인텔은 ARM이 하는 기본 ... ...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
2016.07.19
오토 한(1938년 핵분열을 처음 발견한 독일화학자)은 이렇게 한탄했다. “미국인이 우라늄
폭
탄을 가지고 있다면, 당신들은 모두 이류밖에는 안되겠지요. 가엾은 하이젠베르크.”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 ... ...
두껍고 갈라진 손발톱 무좀‥‘굴욕이야’
2016.07.19
뿌리는 스프레이 타입, 먹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약품이 등장해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
이 넓어졌습니다. 제품마다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의사와 상의 후 본인에게 더욱 맞는 제품을 선택하면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무좀을 예방하는 방법 ① 발을 씻은 후에는 발가락 사이까지 ... ...
태양전지 신소재로 LED 조명 효율 큰
폭
으로 높였다
2016.07.18
교신저자로 연구에 참여한 김동하 이화여대 화학나노과학과 교수(왼쪽)와 제1저자 전리나 연구원 - 이화여대 제공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신소재 ‘페로브스카이트’를 이용해 조명장치로 ‘발광다이오드(LED)’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각종 조명장치는 물론 TV나 모니터 같은 디스플 ... ...
제 2의 불산사고 막아라… 화학물질 피해예측 가능해진다
2016.07.18
환경백서 2015’에 따르면 국내 유해화학물질 유통이 늘어나면서 관련사고 역시 큰
폭
으로 늘고 있다. 국내 화학물질 관련 사고는 2007년 16건에서 2014년 104건으로 여섯 배가량 늘었다. 그동안 공장에서 불산이나 염산, 황산 등 위험한 화학물질이 누출될 때마다 인근 주민들은 피해가 어디까지 ... ...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06.30
먼지구름에 가려진다. 제트와 함께 기체 구름이 뿜어져 나오는데, 여기에서 나오는
폭
이 좁은 방출선만 관측된다. 이석영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교수는 “서로 다르게 보이는 AGN을 가장 쉽게 설명할 수 있는 기하학적인 해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매우 아름다운 모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비판도 ... ...
고성능 그래픽프로세서(GPU)를 위한 3대 기술 개발
2016.06.30
기술을 적용했을 때는 약 23% 성능이 향상됐다. 노 교수는 “인공지능(AI) 연산에
폭
넓게 활용되는 GPU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주요 기술을 개발했다”며 “이를 활용해 고성능 GPU를 국산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그래핀의 재발견, 미세 전류제어 ‘성공’
2016.06.28
전기 흐름이 주변보다 훨씬 커지도록 조절해 수십 ㎚(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폭
의 전도 채널을 구현했다. 그 결과 전자가 주위로 산란되는 일 없이 좁은 경로를 통해서만 전류가 흐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교수는 “전압을 바꿔 주는 것만으로 그래핀의 고유한 전도특성을 유지하면서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